기사등록 : 2024-12-12 16:40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한국무역협회는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2025 경제통상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내년 세계 경제를 전망하고 주요 통상 현안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무역업계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총 2부로 이어진 이날 세미나에서는 세계 경제‧환율‧IT산업‧신흥국 경기 등 내년 글로벌 무역환경에 대한 논의와 함께 미 대선‧중국‧ESG 관련 통상 이슈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김우종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세계 경제 및 한국무역 전망' 발표를 통해 "내년도 세계 경제는 주요국 금리 인하와 제조업 경기의 완만한 회복으로 3% 초반의 성장세가 전망된다"며 "우리 수출도 반도체 등 IT 품목을 중심으로 플러스 성장(1.8%)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IT·반도체 산업 전망' 발표에서 "AI 산업 성장과 IT기기 수요 증가로 I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중국의 저가 공세에도 불구하고 AI 서버 수요와 고부가가치 제품 보급 확대가 반도체 단가 하락을 방어할 것"이라고 전했다.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실장은 내년 통상환경 키워드로 'STORM'을 제시하며 안보(Security)· 관세(Tariff)·중국 공급과잉(Over-supply)·자원(Resource)·제조업(Manufacturing)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은 '트럼프 2기 중국의 대응' 발표에서 "미·중 갈등은 자원과 금융 분야에서 더 치열해질 것이고 중국은 이에 관세 맞대응, 환율 절하, 희토류 통제, 내수 부양 등 다양한 수단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중국에 대해 제조와 시장을 분리해 접근하고 중국을 중동처럼 '원자재 조달 기지'로 활용하는 전략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속가능발전연구팀장은 '신흥국 경제 전망' 발표에서 "신흥국들은 미국과의 지정학적 거리와 글로벌 정책 불확실성에 따라 각기 다른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인도는 2025년까지 6% 후반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해 2030년 이전에 경제 규모로 G3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