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원·달러 환율이 15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건설업계가 원가 관리에 고민이 커지고 있다. 원자재 생산기업과 연간 단위로 계약을 맺는다는 점에서 단기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는 부분이다.
수익성과 직결되는 매출 원가율이 95% 수준까지 치솟은 상황에서 원자재값이 오르면 상승 압박이 커질 수밖에 없다. 내년 사회간접자본(SOC) 등 건설투자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매출, 영업이익이 모두 줄어드는 '이중고'에 시달릴 가능성도 존재한다. 다만 해외사업에서는 통상적으로 공사 대금을 달러로 받기 때문에 일정부분 환차익이 기대되는 점은 위안이다.
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치솟은 원·달러 환율이 1400만원을 넘어 1500원선을 위협하면서 건설업계가 원가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고환율이 장기화하면 레미콘, 철근, 콘크리트 등 원자재 수입가격 상승으로 건설업계의 원가 부담이 높아진다. 건설사들은 원자재 생산기업과 통상적으로 1~2년 장기적으로 납품 계약을 맺는 만큼,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이 즉각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레미콘, 철근 제조기업의 생산비용이 단기간에 치솟으면 건설사에 매입가격 인상을 요청하는 경우가 상당수다.
고환율 위험에 건설사들이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크레인 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사진=윤창빈 기자] |
건설업계의 원가 부담은 이미 정상적인 기업 운영을 가로막는 상태다. 올해 3분기(별도기준) 대우건설은 매출 원가율이 97.2%로 10대 건설사 중 가장 높았다. 사업비 1조원짜리 공사에 원가를 제한 매출총이익이 280억원에 불과한 셈이다. 여기에 판매관리비 등 영업에 필요한 고정비를 빼고 손에 쥐는 게 영업이익이다. 매출총이익이 90%를 넘으면 사실상 수익성 관리가 어렵다고 평가된다. 같은 기간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도 95%를 웃돌았다.
부동산경기 악화도 악재다. 국내 시행사들은 평균적으로 사업비에서 차지하는 자기자본 5~10%에 불과하다. 자금력이 낮다보니 사업성과가 부실할 경우 원가 증액분을 시행사에 요청하지도 못한다. 상대적으로 지방 사업장이 많은 중소 건설사의 매출원가율이 100%를 웃도는 이유다. 건설사의 주요 매출처 중 하나인 SOC(사회기반시설) 사업도 내년 정부 예산안이 올해 26조1000억원보다 9000억원(-3.6%) 줄어드는 것도 불안 요소다.
이런 이유로 유동성 문제로 문을 닫는 건설사가 속출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부도를 신고한 건설업체(당좌거래정지 당시 폐업 또는 등록말소된 업체 제외)는 27곳이다. 2019년(49곳) 이후 5년 만에 최고 수치이자, 지난해 같은 기간(13곳)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원가율 상승은 아파트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분양한 민간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2065만원으로 지난해 평균 분양가(1800만원)보다 265만원(14.7%) 상승했다. 건설 원자재 가격은 최근 3년새 30% 넘게 치솟았다. 건설 원가가 올라가면 분양가격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다만 해외공사 관련해서는 환차익이 기대된다. 해외 공사의 결제는 대부분 달러로 이뤄진다. 2~3년전 공사 계약한 사업장의 경우 공사대금의 20~30%가 환차익으로 기대되는 셈이다. 해외사업 비중이 전체의 30% 안팎을 차지하는 대형 건설사에는 상대적으로 고환율 부담이 상쇄되는 부분이다.
대형건설사의 한 재무담담 관계자는 "고금리 장기화에 이어 원·달러 환율이 1500원선 돌파를 위협하면서 사업장별로 원가율 점검이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며 "해외사업이 많은 경우 환차익에 다소 유리할 수 있지만 환율 변동이 심하고 예측하기 어려워 현재로선 신사업 투자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