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항공권 환불이 급증하자 관련 업계에서는 유동성 위기를 우려하고 있다. 단기간 내 환불 요청이 급증하면 미리 확보한 선수금을 환불 비용에 사용해야 하는데 현재 상황을 볼 때 막대한 현금 유출이 불가피해서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고객들에게 판매한 항공권의 선수금은 올해 3분기 기준 약 2606억원이다.
제주항공 항공기 [사진=제주항공] |
이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가운데서 가장 많은 금액이다. 선수금 2위를 기록한 티웨이항공(1843억원)과도 약 763억원이나 차이 난다.
통상적으로 항공기 탑승 고객들은 예약을 하기 때문에 항공권 가격을 미리 지불한다. 이 돈이 항공사에 선수금으로 기록되며 부채로 남는다. 다만, 추후 실제 매출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착한 부채'로 불리기도 한다. 실제 승객이 탑승하는 시점에 매출로 전환된다.
선수금을 통해 운영자금을 미리 확보한 항공사는 원활한 현금흐름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미리 보유했던 선수금이 다량 유출될 위기에 놓였다. 지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추락 참사 이후 항공권 환불이 빗발치고 있어서다.
제주항공은 오는 3월 29일 이전 출발하는 국내‧국제선 전 노선에 대한 취소 수수료를 모두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소비자들의 환불이 지속되고 있다. 참사 발생일인 지난 12월 29일부터 30일 오후 1시까지 약 6만8000건의 예약 항공권이 취소됐다.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집계 상황은 공개할 수 없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항공업계에서는 취소표가 더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한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7만건 가까이 되는 취소표가 하루 만에 나온 것도 굉장한 일인데 이후에 이탈표가 지속해서 나왔다면 수치를 밝히는 것이 제주항공 입장에선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며 "항공권 취소 행렬이 멈췄으면 제주항공도 공개했을텐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말을 아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탈표 급증으로 제주항공의 현금 흐름에 비상등이 켜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항공은 이미 코로나19 이후 현금 흐름이 둔화되고 있다.
제주항공의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유동비율은 39.4%로 확인됐다. 재무 안정성을 나타내는 적정 기준인 150%를 한참 밑돈 수준이다. 3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은 939억원 순유입으로 기록하긴 했다. 하지만 전년 동기(3016억원)에서 68.9%나 감소한 수치다.
이런 상황에서 운항 정지 리스크까지 있다. 만약 이번 참사에 제주항공 측의 귀책이 있다고 판단된다면 무안~방콕(태국) 노선에 최대 180일 운항 정치 처분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항공법에 따르면 항공사의 고의나 중대 과실로 사고가 발생하면 사망자와 재산상 손실에 따라 운항 정지 기간이 결정된다. 17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이번 사건의 경우 국토교통부는 150일 이상, 180일 미만의 운항 정지 처분을 내릴 수 있다. 만약 이용자 불편 등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운항 정지 대신 100억 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여한다.
항공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환불 규모가 커질수록 현금 유출로 인한 현금흐름이 둔화돼 경영이 힘들어진다"며 "운항 정지 관련해서는 무안발 국제선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매출 비중이 크지 않아 만약 (운항 정지) 처분을 받더라도 소비자들이 동요하는 것 외 노선 중단 자체로는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