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강원

삼척시민단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비판...핵발전소 계획 폐기 요구

기사등록 : 2025-02-26 16:2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삼척=뉴스핌] 이형섭 기자 = 정부가 최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하며 신규 핵발전소 건설을 포함한 내용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산업부는 이미 건설 중인 4기 외에 대형 핵발전소 2기와 소형모듈원전(SMR) 4기를 추가 건설하겠다고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밝혔다.

썸네일 이미지
삼척시민단체 핵발전소 반대 기자회견.[사진=삼척핵발전소반대투쟁위원회] 2025.02.26 onemoregive@newspim.com

산업부는 신규 원전 부지로 경북 영덕과 강원 삼척을 후보로 꼽고 있다. 이 두 지역은 이미 과거 주민 반대 운동을 통해 원전 백지화 사례를 가지고 있다.

이 계획이 발표되면서 시민사회와 환경단체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들은 정부의 계획이 기후위기 대응과 안전성에 역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삼척과 영덕 주민들은 이미 신규 핵발전소 계획과 핵폐기장 선정을 막아내며 원전백지화기념탑을 세웠고, 영덕 역시 주민투표를 통해 핵폐기장 건설을 막아냈던 역사의 현장이라며 정부의 이번 핵발전소 계획의 즉각적인 폐기를 요구했다. 

삼척시민단체는 정부의 신규 핵발전소 건설에 대해 새로운 투쟁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핵 없는 안전한 국가를 위해 꾸준히 목소리를 높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에 이어 박상수 삼척시장과 권정복 삼척시의회의장에게 '핵 발전소 없는 청정삼척'을 요구하는 요청서를 전달했다. 

이 요청서에는 "시민들이 더 이상 불안해하지 않도록 백지화된 부지는 에너지복합관광단지로 발전시켜 나가고 삼척핵발전소 유치신청은 절대로 하지 않겠다"는 입장 표명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와 같은 비판에 대해 전력 수급 안정성과 경제적 필요성을 이유로 들고 있다. 그러나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은 안전과 사회적 합의를 통한 책임 있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onemoregive@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