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3-17 12:00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최근 소비부진이 2·3분위 소득계층에 해당하는 중산층에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의 '최근 소비동향 특징과 시사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직전시점(2019년)을 기준(100)으로 가계소득분위별 실질 소비지출액(물가상승분 제외)을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지속된 소비위축이 '허리계층'인 중산층(2·3분위)을 중심으로 장기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소득층(1분위)의 경우 오히려 소비지출액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고소득층(4·5분위) 역시 코로나 이후 3년까지는 소비지출액이 소폭 감소했으나 2023년을 기점으로 회복추세이다.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중산층(2·3분위) 한계소비성향 감소폭도 두드러지게 크게 나타났다. 2분위의 한계소비성향(%)은 2019년 90.8에서 2024년(1~3분기) 81.8로 하락했으며, 3분위 역시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대한상의는 "저소득층(1분위)은 정부 지원에 힘입어 소비를 유지하고, 고소득층(4·5분위)은 자산증가와 소득 회복으로 빠르게 소비를 정상화하고 있는 반면, 중산층(2·3분위)의 소비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내수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