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11-20 19:58
[서울=뉴스핌] 이지현 기자 =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21일로 예정된 민주노총의 총파업을 비판했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20일 논평을 통해 "친노동을 표방한 문재인 정부 들어서 현재의 민노총은 무소불위 권력집단화 됐다"면서 "그동안 민노총은 석달 새 7곳의 관공서를 점거하면서 집시법 위반, 공무집행 방해, 업무방해에 해당하는 명백한 불법행위를 일삼았고 광주형 일자리 정책마저도 민노총의 훼방으로 무산될 위기에 처해있다"고 지적했다.
윤 수석대변인은 이어 "법 위에 군림하면서도 민노총은 국민이 감내하는 어려움은 안중에도 없이 집단이기주의로 뭉쳐서 결국 총파업을 선언했고, 지금까지 당하기만 했다면서 자신들이 피해자라고 운운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으로 각종 경제지표는 나날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고 언론에서는 연일 '최악', '최저'라는 지표 발표가 끊이지 않는데도 민노총은 총파업으로 국가경제와 국민경제를 더 깊은 수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비판했다.그러면서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사노위조차 끝내 외면하고 기업보다 노조가 더 중요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민노총은 귀족노조를 뛰어 넘어 황제노조라도 되겠다는 것이냐"며 "민노총을 비롯한 노동계가 지금과 같은 강경투쟁 방식으로만 일관한다면 국가의 경제회복은 강건너 불구경하는 꼴이 될 것이고 최대 피해자는 국민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수석대변인은 그러면서 정부가 노동계에 쓴소리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 역시 논평을 내고 "지금 우리 노동시장은 양극화된지 오래"라면서 "공공부문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정규직은 높은 임금과 고용안정성, 풍족한 사내복지를 누리고 있는 반면 그 외 민간과 중소기업에서의 비정규직은 낮은 임금과 잦은 이직에 사내복지 역시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노총이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등을 반대하며 내일 총파업을 예고했다"면서 "민주노총이 배타적이고 경직된 노동자의 권익을 내세울수록 공공부문과 대기업 정규직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난 대부분의 노동자들의 권익은 더욱 악화되기만 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공서열 파괴, 직무급제 도입 등 과감한 노동개혁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민간과 공공부문 사이의 격차를 줄여야 양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서 "민주노총은 지금 파업을 할 때가 아니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복귀해 노동개혁에 앞장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