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9-25 16:38
[서울=뉴스핌] 장현석 기자 = 시민단체가 윤석열(59) 검찰총장의 부인이 기업들로부터 '대가성 협찬'을 받았다는 의혹을 새롭게 제기하며 추가 고발했다. 윤 총장에 대해서도 뇌물죄로 처벌해달라며 수사를 촉구했다.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은 25일 오후 2시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윤 총장과 부인 김건희(48) 씨에 대한 3차 고발장을 냈다.
이 단체는 기업들이 수사 및 재판 관련 편의를 위해 김 씨가 운영하는 회사가 주관한 행사에 협찬을 제공했다며 포괄적 뇌물수수와 부정청탁 의혹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행사가 진행된 시기는 윤 총장이 검찰총장으로 지명됐던 때다.
사세행은 "김 씨는 윤 총장이 중앙지검장으로 있던 지난해 6월 12일 자신이 운영하는 주식회사 코바나컨텐츠 주관으로 '20세기 현대미술의 혁명가들' 전시회를 열었다"며 "당시는 윤 총장이 차기 검찰총장으로 유력하게 언급되던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력한 차기 검찰총장 후보자였던 윤석열에게 수사 및 재판에 대한 편의를 바라고 김 씨 주관 행사에 '보험용 협찬'을 한 것이 아닌가 합리적 의심이 강하게 든다"고 지적했다.
또 사세행은 "김 씨 회사 측은 지난해 7월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협찬 기업들에게 '협찬 계약 내용을 국회에 제출하면 위법'이라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며 "포괄적 뇌물수수 및 수사·재판 편의를 위한 포괄적 부정 청탁 혐의가 더욱 짙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국정농단 뇌물 사건에서 대법원은 뇌물 공여자의 '명시적 청탁'이 없더라도 '암묵적 청탁'이 있다면 뇌물죄는 성립된다고 봤다"며 "윤석열과 그의 처 김 씨에 대한 추가 고발 혐의를 철저히 수사해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박순배 부장검사)는 이날 윤 총장과 김 씨, 장모 최모(74) 씨 등을 고발한 사업가 정대택(71) 씨를 불러 고발인 조사에 나섰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등과 관련해 김 씨와 최 씨를 고발한 황희석(53) 열린민주당 최고위원 측도 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kintakunte8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