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08-26 18:47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응급실을 이용하는 경증 환자가 의사집단행동이 발생한 2월 이후 다시 증가해 정부가 긴급 간담회를 열어 응급실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와 소방청은 26일 오후 4시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응급실 내원 환자는 의사집단행동 이후 감소하다가 최근 증가세를 보인다. 복지부에 따르면 평일 일평균 응급실 내원 환자는 2월 초 1만7892명에서 8월 3주 1만9783명으로 늘었다. 이후 지난 19일부터 22일까지 응급실 내원 환자는 1만7829명으로 다시 감소했다.복지부는 응급실 기능이 유지되도록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와 인건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중증응급환자 수용률, 병원 간 전원 환자 수용률 등 비상진료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해 우수 기관에 인센티브도 지원한다.
아울러 복지부는 응급실 진료 외 입원 후 수술, 처치, 마취 등에서도 수가 인상을 추진한다. 현재 급성대동맥, 소아급성복부, 산과응급질환 등 5개로 선정된 순환당직제 대상도 확대한다.
정윤순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오늘 간담회를 통해 국민들께 제때 적절한 응급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복지부와 소방청이 협력해 나가자는 데에 뜻을 모았다"며 "응급실 운영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중증응급질환에 대한 진료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