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4-04 14:28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3기 신도시 분양과 1기 신도시 재건축 등 정부의 공급 진작 대책에도 최소 2년 동안은 공급 공백으로 인한 시장 혼란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4일 '부동산시장 동향 및 전망' 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현재 부동산 시장의 문제로는 수요 대비 부족한 아파트 공급물량을 꼽았다.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64만2576건 가운데 아파트 거래량은 76.6%(49만2052건)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올해와 내년 전국 입주 물량은 급락할 전망이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 조사 결과 올해 전국 입주 물량은 27만4360가구로 지난해(36만가구) 대비 20% 감소할 전망이다. 내년은 올해 전망치보다 30% 이상 줄어든 19만773가구 수준으로 예상됐다. 2023년과 지난해 인허가가 크게 줄어든 영향이 크다. 인허가와 입주 사이 시차는 통상 3년으로 추정한다.
3기 신도시 전체 택지 면적에 비해 공급물량이 적다는 점도 지적했다. 지난해 재건축 선도지구를 선정한 1기 신도시의 경우 적용되는 용적률이 300~350%인데 반해 3기 신도시는 160~190%다. 용적률이 낮다 보니 택지를 매각할 때에도 입찰하는 업체가 없어 수 차례 유찰을 겪기도 했다.
박 교수는 "3기 신도시를 처음 설계했을 때는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공급물량이 많을 때라 용적률을 높여주면 집값이 떨어질 수 있단 우려가 생겨나며 2기 신도시의 절반 정도로 조정한 것"이라며 "공급이 일정 부분까지 늘어야 주택 시장 전반이 안정을 찾을 수 있는데, 이 같은 결정은 아쉽다"고 말했다.
정부가 최근 강남4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하는 등 상승 억제 대책을 펴고 있으나 집값 오름세를 막기 어려울 것이란 예측도 내놨다. 올해 강남·서초·송파구에서 분양이 예정된 민간 아파트는 7개 단지, 2113가구뿐이다.
올 1~2월 세 자치구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는 23억8118만원으로 전년 동기(20억499만원)보다 18.8% 올랐다. 같은 기간 비강남권 아파트는 평균 10억1103만원에 거래됐다. 강남권의 2분의 1보다 낮은 금액이다. 공급물량 부족으로 희소성이 높아진 데다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박 교수는 "강남 거주자 중 하나가 되고 싶다는 진입 수요도 집값 부양의 한 원인"이라며 "70~80대 자산가가 30~40대 자녀에게 주택 증여를 통해 부를 이전하는 대물림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