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배군득 기자] 척박한 무선인터넷 시장의 견인차 역할을 주도하던 와이브로가 수익성 감소와 4G LTE 등 데이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부와 통신사업자의 투자가 매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방송통신위원회와 KT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0년을 기점으로 와이브로 투자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 오는 3월 와이브로 주파수를 재할당 받아 앞으로 7년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실상 시한부인 셈이다.
와이브로(Wibro)는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줄임말로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무선 광대역 인터넷 등으로 풀이된다.
와이브로 특징은 휴대폰, 스마트폰의 3G 통신망처럼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유선인터넷과 같이 100Mbps급 속도에는 비교할 수 없지만 3G 통신망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꾸준히 증가했다.
현재 와이브로 사용자는 KT 80~90만명, SK텔레콤이 약 10만명으로 100만명 수준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로 이동 중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 와이브로 가입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나 이같은 와이브로 가입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와이브로 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했던 KT는 지난해부터 투자 규모를 줄이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LTE 투자가 확대되면서 와이브로 사업성에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다.
실제로 KT는 지난 2005년부터 와이브로 사업에 뛰어들었다. 지난 2010년까지 5년간 와이브로에 투자한 규모는 약 2000억원. 이같은 대규모 투자로 2011년 3월에 전국 82개 시도로 망을 확대했다.
이석채 KT 회장도 와이브로를 애플 아이폰과 함께 자신이 내걸은 경영철학인 ‘역발상’의 퍼즐 조각으로 꼽았다. 지난해 4월에는 제주도 전역 95% 커버리지를 아우르는 와이브로 망을 구축, LTE보다 와이브로에 더 많은 비중을 뒀다.
당시 이 회장은 “제주도 와이브로망 구축으로 전국망의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춘 것”이라며 “스마트폰이 데이터 트래픽을 많이 발생시키면서 3W(와이브로, 와이파이, WCDMA)가 다시 효용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와이브로에 상당한 애착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지난 3월 와이브로 주파수를 재할당 받아 앞으로 7년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실상 시한부에 들어갔다는 반응이다.
표현명 KT 개인고객부문장 사장은 "현재 와이브로를 열심히 추진하고 있지만 이를 소화할 수 있는 장비업체가 없다"며 "소비자들이 원하는 장비를 제대로 갖출수 없다. 사업자 혼자 노력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와이브로 투자가 쉽지 않다는 점을 시사했다.
와이브로 정책을 수립 중인 방송통신위원회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해부터 와이브로 관련 사업 추진히 현저히 줄었다.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는 와이브로 사업은 세종시 망 정비가 전부다.
방통위 고위 관계자는 “와이브로는 3G망의 대체재로 주목 받았지만 통신사들이 LTE에 집중하면서 사업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며 “최근 폐지를 결정한 위성DMB와 같이 투자 대비 수익성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와이브로 역시 사업자가 적자를 감수하고 끌고온 사업”이라며 “정책 실패를 적기에 인정하고 기업이 대안을 모색할 수 있도로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왕의 귀환" 주식 최고의 별들이 한자리에 -독새,길상,유창범,윤종민...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배군득 기자 (lob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