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정권교체뒤 'CEO 잔혹사'… '어윤대의 꿈' 이뤄질까

기사등록 : 2012-08-02 10:3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인수하고 싶은 우리금융, 시도도 어려워

- 새정부 들어서면, 금융권 CEO 대거 교체 반복


[뉴스핌=한기진 기자] 정권이 교체되면 반복되는 금융권 CEO(최고경영자) ‘잔혹사’가 있다.

대선이 끝나면 금융공기업 CEO들은 줄지어 사표를 내거나 사의를 표명한다.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직후인 지난 2008년 4월엔 김창록 산업은행 전 총재, 윤용로 기업은행 전 행장, 이철휘 자산관리공사 전 사장, 김규복 신용보증기금 전 이사장, 한이헌 기술보증기금 전 이사장 등의 사의가 이어졌다.

또 공적자금투입 기관인 우리금융지주 박병원 전 회장은 지난 정부 말인 2007년 3월 취임했다가 정권이 바뀐 후 1년 만에 중도 퇴진하기도 했다.

정부의 입김이 강한 금융업 특성상 KB금융지주처럼 민간기업도 예외가 아니다. 모양새는 더 나빴다. KB금융에선 초대 통합 국민은행장이던 김정태 전 행장과 후임 강정원 전 행장, 초대 KB금융 회장이었던 황영기 전 회장 등 3명이 모조리 금융감독원의 중징계를 받고 낙마했다.

모두 정부와 정치권이 “전 정권에서 선임된 인물은 재신임을 물어야 한다”는 압박을 가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흥미로운 공통점이 발견되는 데, 정권 권력 핵심과 인연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물들은 자진사퇴 1순위였다.

                    <KB금융지주 어윤대 회장>
이 때문에 오는 12월 대선이 가까워져 오면서 금융권에서 MB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알려진 인물들이 또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금융권 3인방 가운데 우선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전 회장은 외환은행을 인수하고 용퇴, 박수받고 떠났다. 

이에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이 남았는데 두 사람의 처지가 다르다. 

이 회장은 ‘우리금융을 선진금융그룹으로 키우는데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숙제를, 남은 임기와 상관없이 수행하고 미련 없이 떠날 수 있다. 

하지만 어 회장은 본인 스스로 “MB맨”이라고 말할 정도여서, 새 정권이 과거 정권과 선을 긋기 원하면 내년 7월 임기까지 업무 수행에 어려움이 생길 수도 있다. 

KB금융의 주요주주는 최대주주인 씨티은행(지분율 8.71%)과 ING은행(5.02%) 등 외국계로 외국인 지분율이 63%나 된다. 국민연금도 7.22%나 갖고 있다. 

외국계 은행 관계자는 “외국인 주주들은 정부에서 지지하는 인물을 CEO로 임명할 때, 논란이 있어도 현지 정부와 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실제 이사회에서 정부 측 인사를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게다가 KB금융 회장자리는 금융권 최고의 위치로, 노리는 인물이 많다. 예전 같으면 인기 있을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나 예금보험공사 이사장 선임에 인물난이 있었던 이유도 잠룡들이 새 정부하에서 자리를 얻기 위해 숨어버렸기 때문이다.

어 회장이 중요한 이유는 그가 우리금융 인수를 강력히 원하고 있고 현 정부에서 추진했던 메가뱅크(거대은행)를 이뤄낼 유일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변수는 PK(부산 경남)가 정권을 잡느냐 여부다. 어 회장은 MB와의 인연 외에 현재 금융권을 장악하고 있는 대표적인 PK출신(경남 진해)이다. 정치권외에 관료들도 많아 어 회장의 지지기반이 돼줄 수 있다.

현재 대선후보 중 PK출신은 여당인 새누리당에서는 김태호 국회의원(경남 김해을)이 있고, 야권에서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한기진 기자 (hkj77@hanmail.net)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