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국민 절반 이상 "한반도 전쟁 가능성 없다"

기사등록 : 2013-03-29 15: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리얼미터 조사결과…박 대통령 대북정책에 59.4% '긍정'

[뉴스핌=함지현 기자] 최근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과 정전협정 파기 선언, 판문점 직통전화 차단 등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국민 절반 이상은 전쟁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기조로 한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쟁 가능성 없다 51.3%…북한 위협 두렵지 않다 54.9%

29일 북한미래포럼(회장 정영태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대북관련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북한이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에 대해서는 51.3%가 전쟁 가능성이 없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전쟁 도발 가능성이 별로 없다'는 의견이 35.0%로 가장 높았고, '거의 없다'는 의견이 16.3%로 집계됐다. 반면 '전쟁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은 43.0%(다소 크다 32.8% + 매우 크다 10.3%)로 나타났다.

<자료출처=리얼미터측 제공>

핵무기 개발을 중단 가능성에 대해서는 '중단 가능성이 없다'는 의견이 72.0%(거의 없다 36.7% + 별로 없다 35.3%)로 나타났고, 최근 북한의 대남 군사적 위협에 대해서는 국민의 절반 이상(54.9%)이 '두렵지 않다'고 응답했다.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별로 두렵지 않다'는 의견이 37.1%로 가장 높았고, '거의 두렵지 않다'가 17.8%로 나타났다. 반면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두렵다'는 의견은 43.6%(다소 두렵다 34.5% + 매우 두렵다 9.1%)로 집계됐다.

<자료출처=리얼미터측 제공>

◆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59.4% '긍정'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43.5%(잘 알고 있는 편이다 14.5% + 어느 정도 알고 있는 편이다 29.0%)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향후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수행전망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인 59.4%가 긍정적인 전망을 나타냈다. 대북정책을 '대체로 잘 할 것'이라는 의견이 43.8%로 가장 높았고, '매우 잘할 것이다'는 15.7%로 나타났다.

<자료출처=리얼미터측 제공>

향후 남북대화 재개에 대해서는 51.1%가 '북한의 진정성을 봐가며 단계적으로 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도발에 대한 북한의 사과 후에 재개해야 한다'가 23.2%, '무조건 대화를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가 18.7%로 조사됐다. '남북대화를 재개할 필요 없다'는 의견은 4.6%로 나타났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먼저 추진돼야 할 사업으로는 '경제교류 및 협력'이 28.5%, '정치적 신뢰구축'이 24.8%, '군사적 대결 해소'가 19.5%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반도 평화 유지를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50.8%가 '남북한 당사자 간 직접 대화'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출처=리얼미터측 제공>

남북통일에 대해서는 74.7%가 당장의 통일보다는 '점진적 여건이 성숙된 후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통일기반 조성을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경제성장'이 3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치적 민주화와 '빈부격차 해소'가 19.2%, '지역감정 해소'가 11.5%의 순으로 조사됐다.

<자료출처=리얼미터측 제공>

이번 조사는 24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 RDD(임의전화걸기)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했다.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무작위 추출 후 통계처리 과정에서 성, 연령, 지역별로 인구비례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 3.1%p(포인트)다.



[뉴스핌 Newspim] 함지현 기자 (jihyun0313@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