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중대형 주택은 '사각지대'..거래활성화 불투명

기사등록 : 2013-04-15 07: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수요자들 중소형 몰려…정부 대책에서도 소외
[뉴스핌=한태희 기자] 주택 양도세 한시 감면 대상에서 면적(전용 85㎡)기준이 사라져도 중대형 주택 거래는 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소형에 비해 중대형 주택의 인기가 여전히 낮아서다. 

12일 중개 업계는 정부와 여당이 양도세 감면 기준 가운데 면적 기준을 낮추더라도 중대형 주택의 거래는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중대형 주택에 대한 수요가 거의 사라졌다는 이유에서다.

중개사들은 은평뉴타운을 예로 든다. 은평뉴타운 중대형 주택은 대부분 매물로 내놓고 1년이 넘어도 거래가 안된다.

서울 은평구 진관동 은평뉴타운 지구 내 아파트 모습
서울 은평구 진관동 주공공인의 한 중개사는 "예전에는 큰 집에 사는 게 꿈이라 돈을 모아 작은 평수에서 큰 평수로 옮겨갔다. 하지만 요즘 같이 집값 하락하는 시기엔 오히려 중소형 주택을 더 찾는다"고 말했다.

수도권 신도시에서도 중대형 외면현상은 뚜렷하다. 지난달 동탄2신도시에서 동시분양에 나섰던 호반건설과 롯데건설은 비교되는 분양성적표를 받았다. 전용 85㎡ 급 중소형 위주로 공급한 호반건설은 순위내 청약을 마감했다. 반면 전용 100㎡이 넘는 중대형 주택을 선보인 롯데건설은 대거 미분양됐다.

집값 하락에 따른 사람들의 수요가 변한 것 외에도 정부의 혜택이 중대형을 소외 시킨다고 부동산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정부와 여당은 4.1대책 가운데 양도세 감면대상 기준 가운데 가격을 9억원 밑으로 내릴 방침을 확정한 상황이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써브 조은상 리서치팀장은 "중대형 주택 거래가 안 되고 가격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이를 활성화 시킬 대책이 필요하다"며 "주택 시장을 종합적으로 활성화시키려면 어느 한 곳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많은 곳에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용 85㎡ 기준은 1972년에 설정된 것"이라며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현실을 반영해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한태희 기자 (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