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한기진 기자] 우리금융그룹 차기 회장이 예정대로라면 내일(23일) 베일을 벗는다.
공적자금이 투입돼 대표적 민영화 실패 사례로 지적돼온 우리금융 매각작업의 시동을 걸 주인공이어서 금융권 관심이 많다. 메가뱅크(초대형은행) 로드맵이 정부 내에서 살아있기 때문에 박근혜정부의 금융권 지형이 크게 변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금융 매각의 속도는 정부의 호언에도 불구, 토끼걸음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차기 회장으로 좁혀진 이순우(63) 우리은행장과 이종휘(64) 신용회복위원장(전 우리은행장) 가운데 이순우 행장이 최종 후보로 낙점 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이순우 행장과 이종휘 위원장을 청와대에서 인사 검증했고 이순우 행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차기 회장은 우리은행장을 겸임하게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내달 내놓을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방안에 지주사 회장의 권한과 책임을 균형 맞추는 내용이 포함될 전망이다. 은행장을 겸임하게 해서 책임경영을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이러면 가장 눈에 띄는 결과는 지주사의 자회사 늘리기가 크게 위축된다. 이팔성 현 우리금융회장은 삼화저축은행 인수를 시작으로 광주 및 경남은행의 지분 100%를 취득해 완전 자회사로 전환했고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법인 설립, 우리카드 출범 등 자회사 13개 손자회사 77개까지 늘렸다. 이 회장은 계열사 확대로 사업모델을 확대하고 궁극적으로 시너지효과를 불러, 그룹가치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믿었다. 또 민영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덩치를 키우고 싶어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회사 개수를 늘리는 것은 회장의 의지에 따른 것으로 경영 욕심의 결과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 우리은행장 출신이 차기 회장과 우리은행장을 겸직하면 자회사 확대는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이팔성 회장보다 중량감에서 떨어져 금융당국을 설득하는 일이 어렵다. 신용카드 분사도 카드사 신설 인가 접수 1년 만에 이뤄졌다.
또 민영화를 위해서도 자회사가 더는 늘어나는 일은 바람직한 게 아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오는 25일 간담회를 열고 민영화 논의를 시작한다. 앞서 공석이었던 공자위 사무국장에 손병두 전 G20 기획단장을 임명했다. 이에 따라 민영화 방안은 내달 중 나올 수 있다.
하지만 공자위 위원들의 임기가 9월로, 새로운 위원들에게 민영화 책임을 넘길 가능성이 있어 내년 초에나 본격적인 매각작업이 가능할 전망이다.
[뉴스핌 Newspim] 한기진 기자 (hkj7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