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부동산 정보 서비스 페이지. |
[뉴스핌=서영준 기자] 정보전달의 핵심은 신속하면서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는 일이다. 아무리 정보전달을 신속하게 전달해도 정확도와 신뢰성이 떨어진다면 정보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다.
특히 정보를 접하는 이용자 입장에서 정확도와 신뢰성은 생명이다. 자칫 잘못된 정보로 인해 이용자가 큰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네이버의 부동산 정보 서비스가 포털업계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인터넷 골목상권 침해 논란부터 독과점 문제까지 거론되고 있다. 물론 네이버는 부동산 서비스 과정에서 전혀 문제가 노출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고있다.
다만 이용자는 어떻게 수용하고 받아 들였을까. 결국 네이버의 부동산 서비스 평가는 이용자의 몫이다. 이용자 입장에서 지속적으로 논란을 야기시키고 문제를 키웠다면 네이버의 부동산 서비스도 첫발을 내딛기 전에 접었을지 모른다.
올해로 시행 5년째에 들어간 네이버의 부동산 서비스에 대한 평가는 나쁘지 않다. 오히려 긍정적인 평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네이버의 부동산 서비스 시행전,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더욱 이해하기 쉬울 듯 하다.
2000년대 중반 온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부동산 정보는 허위매물인 경우가 적지 않았다. 때문에 사회적 이슈로까지 부각되면서 포털 이용자들의 비난이 거세게 일기도 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정보 서비스업체와 제휴를 맺어 콘텐츠를 제공하던 포털들도 이용자 피해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결국 지난 2009년 네이버는 확인매물 서비스를 시작했다. 허위매물로 인한 이용자 피해를 줄이고 부동산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결정이었다.
초기 반응은 싸늘했다. 기존 시장을 선점하고 있던 업체들이 네이버와의 제휴를 거부하면서 하나하나 허위매물 여부를 확인해야 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허위매물을 확인하는 데 연간 수십억원의 비용이 들어갔다.
4년이란 시간이 흐른 지금, 허위매물 확인작업의 성과는 가시화되고 있다. 확인매물 서비스로 그 가짜 매물이 줄면서 이용자들은 헛된 발품을 팔지 않아도 됐다.
김상헌 NHN 대표는 "확인매물 서비스로 허위매물이 줄면서 이용자들의 피해를 막고 사회적 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됐다"며 "(이런 부분은)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라고 설명했다.
네이버가 이처럼 허위매물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동안 부동산 정보 서비스 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부동산 정보 서비스 시장 자체가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당시의 분위기에 대해 한 공인중개사는 "매매거래 자체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부동산정보업체에 내는 30만~60만원 가량의 연회비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정보업체와 네이버 모두에 회원 등록을 했으나 점점 네이버에 의존하게 됐다"고 회상했다.
▲광고비에 따른 매물 정보. |
부동산 정보 유통의 네이버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중개업소가 지불하는 광고비는 자연스레 관심사로 떠올랐다. 네이버는 광고비 순서대로 프리미엄, 포커스, 일반 매물 순으로 매물 정보를 노출시키고 있다.
이 가운데 공인중개사들이(74%)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영역은 포커스 분야로 건당 1만원에 매물을 등록할 수 있다. 최근 논란이 된 프리미엄 광고 영역은 아파트 단지 규모와 시세 등에 따라 광고비가 책정된다.
프리미엄 영역의 경우 68%가 6개월 기준 30만원 이하 상품이며 30~50만원 상품은 19%를 차지하고 있다. 100만원이 넘는 고가의 상품은 4%에 불과하다.
네이버 관계자는 "6개월 1000만원 광고료로 논란이 된 부분은 이 같은 정책에 따라 책정된 가장 비싼 한가지 사례"라며 "이를 일반화해 마치 모든 부동산 광고비가 비싼 것처럼 알려져 아쉽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서영준 기자 (wind09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