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기업실적 '껑충'… 게이단렌 "아베노믹스 성과" 호평

기사등록 : 2013-10-24 14:3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사진 출처:게이단렌 홈페이지]
[뉴스핌=우동환 기자] 정부의 강력한 부양책에 힘입어 일본 기업들의 상반기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일본 재계를 대표하는 게이단렌(經團聯)이 이른바 '아베노믹스' 정책에 대해 높게 인정하는 평가를 내놔 관심을 끌고 있다.

2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스마트폰과 자동차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회계연도 상반기 일본 기업들의 실적이 25% 가량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3월 결산인 1500개 주요 기업들의 상반기 세전수익은 약 28조 5000엔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5% 늘어난 수치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 2007 회계연도 실적에 10% 모자라는 수준이다.

특히 이들 기업의 총 수익의 30%를 차지하는 자동차와 전자제품 분야에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이 예상되고 있다. 마쓰다 자동차는 상반기 세전수익이 기존 전망치인 250억 엔을 크게 웃도는 700억 엔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일본 제철 스미토모 철강은 같은 기간 세전 수익이 1700억 엔으로 6배가량 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도시바도 스마트폰의 수요에 힘입어 수익이 50% 이상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업의 실적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계는 지난 2009년 정권 교체 이후 환경 변화 때문이라며 중단했던 정당의 정책에 대한 평가를 4년여 만에 내놓았다.

지난 23일 게이단렌은"정책평가에 대해"란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아베노믹스에 대해 높게 평가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연립 여당에 대해 법인세 인하를 촉구했다.

지난 2010년 민주당이 정권을 잡은 이후 게이단렌을 비롯한 재계 단체는 특정 정당에 대한 평가를 자제해 왔다. 재계단체의 정치권에 대한 판단은 정당에 대한 기업 후원금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해왔지만 개별 정치인에 대한 로비를 덮기위한 수단이라는 비난 여론이 높아지면서 평가를 중단한 바 있다.

하지만 성명서에서 게이단렌은 "지난해 총선에서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후 아베 정권은 대담한 금융완화, 기동적인 재정정책, 민간투자를 촉진하는 일본 부흥전략 등 3개의 화살로 이루어진 '아베노믹스'를 추진하는 등 일본 경제의 재생을 위한 정책을 강력하게 실행했다"면서 "올 여름 참의원 선거 결과 양원의 뒤틀림이 해소되어 정책을 보다 착실히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도쿄 올림픽 유치가 이루어지고 일본 경제에 대한 내외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디플레이션 탈피와 지속적인 경제성장, 에너지정책 재구축, 재정과 사회보장제도 재정비 등을 추진해 강한 일본의 부활을 이끌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서의 별지 부속 평가서에서 자유민주당을 비롯한 연립여당의 '성장전략'에 대한 평가를 제시한 게이단렌은 "디플레이션 탈출을 위해 아베노믹스를 강력하게 추진하여 엔고 추세를 중단시켰고, 2013년 2분기 명목 3.7%, 실질 3.8%(연율) 성장률을 달성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고 좋게 평가했다.

게이단렌은 당초 '아베노믹스' 성장전략에 대한 연간 사업방침으로 명목 3%의 성장률 달성과 법인 실효세율 25% 수준으로의 과감한 개혁, 정보통신과 의로 및 간호, 환경 그리고 농업붐야 규제 및 제도 게혁, 특구제도의 심화를 제기한 바 있다.

한편, '아베노믹스' 1년 동안 엔화 강세의 저지와 약세로 전환, 수출기업 지원 등에 따라 대기업 실적은 크게 개선되었지만 중소기업들은 임금 상승과 원자재 수입 가격 상승 부담만 높아지고 정책적 수혜를 받지 못하는 양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내부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는 마지막 3번째 화살이 제대로 작동할 것인가 하는 내외의 관심과 직결되는 지점이다.

[뉴스핌 Newspim] 우동환 기자 (redwax@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