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노희준 기자] IBK기업은행이 베트남과 중국 시장 진출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이달부터 연말, 내년 초까지 잇달아 해외 점포 개설의 결실을 이끌어내면서 아시아금융벨트 구축 속도를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이번주(오는 6일) 베트남 하노이지점 개점식을 시작으로 이달말(오는 27일)베이징 분행 오픈과 올해 말 칭다오 경제기술개발구 지행 오픈을 마무리짓고 내년 초에는 상하이지점 설립에 나설 계획이다.
베트남 하노이 지점은 이미 지난 1일부터 19명(국내 파견 4명+ 현지 직원 15명)이 영업을 하고 있다. 베이징 분행은 이달 중으로 예상되는 중국 정부의 본인가 승인만을 남겨두고 있다.
기업은행 글로부사업부 관계자는 "베이징 분행은 현재 중국 은행감독위원회(은감회)에 본인가 취득을 위한 서류 접수를 끝내고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며 "승인 시점 등을 예상해 오는 27일을 개점식으로 잡고 있다"고 말했다.
하노이지점 개점으로 기업은행은 베트남의 양대 도시인 호치민(남부)과 하노이(북부)에 모두 지점을 보유하는 동시에 해외점포를 총 21개로 늘리게 된다.
이달말에 개점 예정인 베이징 분행(22번째)과 올해 안에 칭다오 경제기술개발구 지행(23번째)설립까지 매듭짓는다면 해외점포는 총 23개로 늘어난다.
앞의 관계자는 "칭다오 경제기술개발구 지행은 올해 12월에 개설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행은 지방 은감국(은행감독국)의 승인만 받으면 되는데, 현재 내인가를 받고 본인가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 해외점포 현황(2013년 11월 4일 현재) [자료=기업은행] |
기업은행이 하노이와 베이징 등 아시아 진출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우리 중소기업의 베트남과 중국 진출이 증가하면서 해외 진출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실제 베트남에서는 최근 국내 기업들이 북쪽의 하노이쪽으로 옮겨가면서 현재 1000여개 기업이, 베이징에도 2500여개 국내 기업이 진출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베이징의 경우 중국 내의 예금 기반 확대 차원에서 진출이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중국에서 대출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려면 예금 기반이 필요한데, 금융기관과 기업이 많아 유동성이 풍부한 베이징이 적합하다는 것이다.
기업은행은 한 걸음 더 나가 베이징 이후에는 상하이를 다음 분행의 전략 목표로 세우고 현재 설립을 추진 중이다. 최근에는 중국 상하이자유무역지구(FTZ) 등을 포함해 분행 설립에 적합한 입지 선정 작업에 한창이다.
다만, 기업은행은 현지 로컬영업(국내영업)을 통한 우리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1순위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외금융 중심지로 그려지고 있는 중국 FTZ는 큰 메리트가 없다고 잠점 결론을 내린 상황이다.
기업은행의 해외 점포 개설에는 조준희 행장의 적극적인 노력이 작용했다는 평이다. 실제 기업은행의 베트남 하노이지점 설립은 외국계 은행으로서는 2년 만에 처음이다.
베트남은 그간 외국계 은행의 신규 인가를 허용치 않았다. 현재 국영은행 5개, 민영은행 37개, 외국계은행 46개 등 시장규모에 비해 은행수가 과다한 데다 부동산시장 침체 등으로 부실자산이 증가해 현지은행의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조 행장은 베트남 주석(지난해 11월), 총리(올해 3월) 면담에 직접 나서 중소기업 전문은행이라는 강점과 하노이 진출 시 베트남 신규투자 가속화와 고용창출 증대가 기대된다는 점을 집중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행장은 또 지난 6월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시 경제 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석, 시진핑 중국 주석을 환대하는 등 베이징 지점 본인가를 앞당기기 위해 여러모로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나 중국이 현재 자국 금융기관 보호에 신경을 쓰면서 지점 허가를 잘 안 해주려는 상황에서 따낸 값진 성과"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