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朴정부 인사, '만사兄통' 가고 '만사炅(최경환)통'

기사등록 : 2014-01-14 13:4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崔, 거래소·국민연금부터 KT 인사 영향력

[뉴스핌=김선엽 기자] “MB정부 시절 만사형통(萬事兄通)이었다면 지금은 만사경통(萬事炅通)입니다.”

금융권 인사들이 최근 읊조리고 다니는 말이다. 금융권을 포함해 공공기관 인사에 최경환 새누리당 원대대표가 깊숙하게 관여한다는 소문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크고 작은 금융권 인사에서 최 원내대표의 측근들이 비중있게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원대대표가 힘을 발휘하면서 과거 경북고가 지배하던 TK인맥이 대구고 출신으로 교체되고 있다는 평가도 흘러나온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9일 거래소 기자실에서 취임 100일을 맞아 ′거래소 선진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 거래소 이사장에 이어 국민연금, KIC도

지난해 9월 선임된 한국거래소 최경수 이사장이 첫 시작이다.

최 이사장은 박근혜 캠프 출신이긴 했지만, 그와 마지막까지 대결을 펼쳤던 유정준 전 한양증권 사장도 대통령의 오랜 측근인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밀었던 인물이다.

게다가 거래소 이사장을 대통령에게 제청하는 신제윤 금융위원장의 당초 추천명단에는 최 이사장의 이름이 빠졌다는 얘기도 있었다.

하지만 결국 9월 최 원대대표가 지원사격을 하면서 최 이사장이 선택됐고, 금융권에서는 이때부터 최 원내대표의 입김이 금융권 인사에 결정적으로 작용한다는 평가가 나돌기 시작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의료 민영화 논란 관련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해 11월 임명된 국민연금 홍완선 기금운용본부장(CIO)도 최 원내대표의 작품으로 꼽힌다.

홍 본부장은 최 원내대표와 대구고등학교 동기동창이다. 하나은행 부행장을 역임하기는 했지만, 투자나 운용과 관련된 경험은 많지 않다.

부행장 시절 자금시장을 담당했고 하나대투증권 부사장 시절에도 법인영업을 주로 도맡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나은행 부행장 시절에도 주로 자금시장 쪽에 관여해 피말리는 수익률 싸움을 직접 해 본 경험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그와 각축을 벌였던 온기선 전 대신자산운용 대표, 정재호 새마을금고 기금운용본부장, 유정상 전 피닉스자산운용 대표 등 자산운용 전문가를 모두 제쳐, 실세 입김을 실감시켜 줬다는 평가다.

지난해 12월 자리에 오른 한국투자공사(KIC) 안홍철 사장 역시 최 원내대표와 가까운 사이다. 최 원내대표가 지식경제부 장관을 역임하던 시절 코트라 인베스트 코리아 단장으로서 최 원내대표를 대신해 궂은 일을 도맡았다는 평가다.

홍완선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왼쪽)과 황창규 KT 대표이사 회장 내정자

◆ 황창규 KT 회장 내정자와의 오랜 인연

'만사경통'이 비단 금융권에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CJ로부터 골프 접대를 받은 이유로 물러난 송광조 전 서울지방국세청장의 뒤를 이은 임환수 청장도 대구고 출신이다.
 
임 청장 임명 이후 국세청 내 TK편중 논란이 불거졌고, 때문에 지난해 말 단행된 국세청 인사에서 오히려 TK출신이 역차별을 받았다는 평가도 흘러 나온다.

지난해 12월 세간의 예상을 깨고 KT회장으로 내정된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도 최 원대대표의 덕을 봤다는 평가다.

황 내정자의 부인 정혜욱씨는 연세대학교 음대 출신으로 대학 시절부터 같은 대학 경제학과 75학번인 최 원내대표와 알고 지냈고, 그 부인 장인숙씨와도 오래전부터 매우 가까운 사이인 것으로 전해진다.

두 사람이 MB정부 시절 함께 공직에 몸을 담은 것도 이같은 인연 때문으로 보인다. 최 원대대표는 2010년 지경부 장관으로, 삼성전자 사장직에서 물러나 있던 황 전 사장을 '지식경제 R&D 전략기획단' 단장으로 직접 임명한 바 있다. 4조원 가량의 지경부 R&D 예산을 주무르는 장관급에 준하는 자리였다.

이처럼 공공기관 인사에 최 원내대표가 막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이유는 청와대 인사에 관여할 수 있는 사람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현재 청와대는 인사수석이나 인사비서관 없이 팀장급 인사 행정관만 있다. 인사위원회를 통해 대통령이 직접 인사를 챙기지만 그만큼 소수정예 측근의 입김은 세질 수밖에 없다.

오랜 기간 금융권에 몸 담아 온 한 공직자는 "MB정부 시절에는 워낙 논공행상(論功行賞)을 주장하며 인사에 관여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현 정부에서는 인사에 대해 관여할 수 있는 사람이 매우 극소수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