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김중수 후임 한은 총재…조윤제 교수 '1순위'

기사등록 : 2014-01-15 15:3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지방선거 앞두고 인사청문회 벽 높아질 듯

[뉴스핌=김선엽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4일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차기 한국은행 총재를 고르고 있다고 언급한 이후 세간의 관심이 '포스트 김중수'로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 총재 임명부터는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만큼 국회 일정을 고려하면 설 전후로 후보자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김 총재의 임기는 3월 말까지다.

늘 그렇듯이 인사청문회는 여권엔 부담이다. 국회 동의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청와대가 국회의 청문보고서 없이 총재를 임명하는 강수를 두기도 쉽지 않다.

그만큼 차기 한은 총재의 인사청문회의 벽은 높을 수 밖에 없다. 한은 한 관계자가 "자는 아내를 깨워 숨겨둔 재산이 없는지 물어봐야 할 것"이라고 말할 정도다.

일단, 학계 인사를 선호하는 박 대통령의 성향상 정치인이나 한은 출신, 또는 관료보다는 현직 교수 쪽에 무게가 실린다.

조윤제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왼쪽)와 김광두 서강대 석좌교수
가장 우선적으로 꼽히는 인물은 국민정책자문회의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조윤제 서강대 교수다.

며칠 전에는 한 신문에 기고한 글을 통해 "경제 각 부문 간 ‘재균형(rebalancing)'을 이뤄내야 중장기적 활성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며 "한국의 거시경제 정책은 당분간 더 완화적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비정상화의 정상화'를 언급한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이나 '완화적 통화정책 유지'를 피력한 대통령의 지난해 영국 이코노미스트지 기고글과 맞닿아 있는 느낌이다.

다음으로 김광두 서강대 석좌교수가 회자되는데, 일부에서는 청문회가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겠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박 대통령의 '경제 과외교사'로서 현 정부 출범 무렵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됐음에도 본인이 고사한 것을 볼 때, 이제 와서 굳이 한은 총재를 맡겠냐는 시각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ㆍ태평양 담당 국장으로 가는 이창용 ADB 수석 이코노미스트의 선임자인 고려대학교 이종화 교수도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경력 면에서는 뒤쳐질 것이 없지만, 다른 금통위원에 비해 나이가 지나치게 적은 것이 오히려 흠이다.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 보면 현직 관료가 재활용 될 가능성도 있다.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 목표가 지난해 '성장' 중심에서 '고용확대, 잠재성장률 제고' 쪽으로 가고 있어 우리 경제의 내실을 다질 정책 동반자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보면 현오석 경제부총리가 용도를 달리해 다시 쓰일 가능성도 있다. 인사청문회를 이미 통과한 경험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현 금통위원의 승진 가능성도 있다. 오는 4월 임기가 끝나는 임승태 위원의 경우 지난해 4월 한은이 창조형 중소기업 지원제도를 마련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다.

관료 출신이라 청문회 통과가 좀 더 수월할 수 있다. 김관진 국방장관과 마찬가지로 예정된 인물이 청문회 통과에 실패할 경우 '조커'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