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요즘 전 세계 기술 분야 기업들의 움직임은 눈이 핑핑 돌 정도의 속도를 내고 있다. 인터넷 시대의 본격화로 기술 개발과 창업, 이를 기반으로 한 '돈의 향연'까지 일었던 2000년 전후를 상기하지 않을 수 없을 정도. 거품론도 자연스럽게 제기된다.
하지만 내용을 들여다 보면 아무래도 큰 거품과 그 붕괴를 경험했던 만큼 한층 성숙해진 부분이 있다. 기업들을 부르는 단어도 달라졌다. 2000년엔 '벤처'가 있었다면 2014년엔 '스타트업(Start-up)'이 있다. 본질적으로 다른 속성을 갖는 건 아니지만 '벤처'가 '위험(risk)'이라는 뉘앙스를 많이 줬던데 비해 '스타트업'이란 단어는 태동하는 에너지를 더 많이 보여주고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 보인다.
지역도 다양화됐다. 2000년 전후엔 실리콘밸리, 즉 샌프란시스코 지역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많이 생기고 성장했다면 지금은 전 세계에서 스타트업 바람이 고루 불고 있다. 또한 10여년 전 벤처 창업을 통해 성공의 경험과 부(富)를 쌓은 선배 기업가들이 멘토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 것도 다른 점이다. 이 멘토들은 경영에 대한 조언은 물론, 투자를 통해 '혈맹'을 맺고 도움을 주고 있다.
◇기술분야 스타트업 붐, M&A 및 IPO 활기로 이어져
기술 분야 스타트업 붐은 일단 숫자로 확인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올해 발표된 이 분야 인수합병(M&A) 규모만도 이미 652억달러에 달한다. 2000년 이후 가장 높다.
스타트업이 꼭 독립적인 존재로 성장하기보다 대형 기업에 자연스럽게 합병되고 이로 인해 이문을 남긴 창업자는 또다른 스타트업을 세우는 일이 미국 등에선 아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 모터스를 세워 잘 나가고 있는 엘론 머스크 역시 온라인 결제 서비스업체인 페이팔의 공동 창업자였다. 기업을 매각한 이후 자신이 하고 싶었던 분야 창업에 또 나서서 성공을 이뤄자고 있는 중.
뉴욕증권거래소 앞에 모바일 게임 `캔디 크러쉬 사가` 캐릭터들이 서 있다.(출처=월스트리트저널) |
'캔디 크러쉬 사가(Candy Crush Saga)'란 게임 하나로 뉴욕 증시에 도전한 킹디지털엔터테인먼트는 최근 기업을 공개해 5억달러를 조달했다.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다운로드받은 게임 앱이었기에 매출도 10배가 뛰고 순이익도 많이 냈지만 이 게임 이상이 없는데도 기업가치는 엄청나다. 공모가는 22.50달러였고 상장 후 주가가 급락, 1일(현지시간) 종가는 19.70달러였다. 이를 기준으로 해도 시가총액은 57억3000만달러에 달한다. 공모 당시의 몸값은 70억달러를 넘는다.
조만간 뉴욕 증시에 도전하는 중국의 전자 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는 이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브스는 알리바바의 몸값이 2000억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요즘 '대세'라 할 수 있는 스트리밍 음원 시장의 강자 스포티파이 역시 IPO에 나설 예정. 시장의 열기는 그야말로 펄펄 끓어 넘친다. 스타트업을 해 보겠다는 의지를 불러일으키는데엔 이보다 더 좋은 상황은 없다.
◇런던 등 스타트업 요람 글로벌화..양극화 문제도 닮아가
미국에 실리콘밸리가 있다면 영국엔 이스트 런던이 있다. 영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금융가 '더 시티(The city)'처럼 정보기술(IT) 허브를 만들겠다고 한 것이 '이스트엔드 테크시티(East End Tech City)'였다.
이 곳은 쇠락한 패션업체 창고들이 밀집해 있는 등 슬럼화되고 있었는데, 최근 몇 년간 IT 창업 기업들이 늘어나고 구글과 애플, 시스코 같은 대형 IT 기업들이 속속 투자하면서 실리콘밸리에서 그랬던 것처럼 허름해 보이는 차고나 건물 안에는 창업의 열기가 가득해졌다.
멘토들도 이 곳을 찾는다. 스카이프(Skype) 공동 창업자 니클라스 젠스트롬 같은 이가 대표적이다. 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젠스트롬은 유럽의 스타트업 붐을 살리기 위해 이곳을 찾아 창업자들과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고 조언을 해주고 있다.
젠스트롬은 NYT와의 인터뷰에서 "기업가들은 천성적으로 호기심이 많은 사람들이다. 나는 런던에 이런 기업가들의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스칸디나비아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게임사 로비오, 수퍼셀을 비롯해 다수의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고 성공적인 안착을 도왔다.
NYT는 런던에서의 이런 IT 창업 열기는 실리콘밸리의 모습과 유사하며, 특히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빈부 격차가 벌어지면서 긴장감이 조성되고 있는 것처럼런던에서도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실리콘밸리에 대형 기업들이 몰려 오며 사람들도 몰리게 되자 집값(렌트비)이 폭등했고, 이 때문에 쫓겨나게 된 임차인들, IT 기업에 다디는 고액 연봉자들에 비해 위화감을 느끼는 거주민들이 구글의 통근 버스를 막고 시위를 벌이는 등 일련의 상징적인 상황들이 발생했다.
이스트 런던에서도 성공한 기술 기업으로 평가받는 쇼어디치(Shoreditch) 등이 나오면서 이 곳으로 기술 기업들이 몰려들었고 이에 따라 부동산 개발업자들, 고급 바와 식당 등이 줄이어 문을 열면서 분위기가 고급스러워졌다. 부동산 가격도 올랐다. 조사업체 네이션와이드에 따르면 작년 말 이 곳의 집 한 채 가격이 평균 83만2000달러로 한 해 전에 비해 17% 뛰었다.
그러나 여전히 이 곳의 실업률은 11%로 전국 평균에 비해 높으며 굶는 아이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 둘 사이의 위화감, 괴리감을 좁히기 위해 젠스트롬을 위시한 성공한 IT 기업인들이 한 달에 한 번 정도 이 지역에서 창업한 비 IT 기업 종사자들과 만난다거나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한국도 '열기'..생태계 조성 돕는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문 열어
정부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서 '제2의 벤처 붐 조성'을 공언하면서 그렇잖아도 달아올랐던 스타트업 창업 열기는 한층 더해질 전망이다.
(출처=CNN머니) |
건전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곳이다. 라이코스 최고경영자(CEO)를 지내고 다음의 글로벌부문장을 하면서 미 동서부의 IT 중심지 경험이 풍부한 임정욱씨가 초대 센터장을 맡았다.
스타트업 얼라이언스는 융자보다는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투자자와 스타트업 기업을 만나고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을 만들고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스타트업과 국내 스타트업 역시 엮어줄 계획이다. 지난달 25일 네이버 분당 사옥에서 '실리콘밸리의 한국인들'이란 컨퍼런스를 연 것도 이런 일환이었다.
임정욱 센터장은 "이스라엘 사람들하고 일을 해 보니까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유대인들끼리 돈독하게 서로 연결하고 소개해주고 도와주는 걸 봤다"면서 "이스라엘 스타트업들이 미국에서 성공하는 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한 게 미국에 있는 유대인들 네트워크였던 만큼 우리나라도 그런 네트워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역할을 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