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노종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변동에 따른 신흥시장에서의 충격이 점점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IMF(국제통화기금)는 미국 연준의 정책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구조적 불안 양상으로 반복되고 있다고 분석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신흥국의 금융불안은 기존에는 경제 펀더멘털에 따른 개별적 취약요인 때문으로 인식되는 경향이었으나 이보다는 구조적인 현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밀접한 동조화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 글로벌 금융시장 동조화의 덫
그동안 신흥국들이 경제성장을 위해서 글로벌 금융시장으로의 개방과 연계를 원해 왔다.
자국 금융시장의 발전은 곧 경제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외국 자본이 들어오면 그 나라는 신용도가 높아져 자본조달 비용이 낮아지고 투자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정부도 활발한 성장 정책을 펼칠 수 있다.
이 같은 배경에서 2000년대 초반 이후 신흥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은 4배 확대됐다.
하지만 글로벌 자금의 긴축 상황이 닥치면 상황은 정반대가 된다.
최근 1년간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 결정에 따라 신흥시장은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아시아 신흥국들은 물론 최근 아르헨티나와 터키, 브라질까지 시장 불안감이 크게 증폭됐다.
기존에는 이 같은 신흥국의 불안은 경제 펀더멘털에 따른 개별적 취약요인 때문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IMF는 이보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동조화라는 구조적인 현상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 신흥시장, 글로벌 파고에 더 취약
다음주에 정식 발표되는 IMF의 글로벌금융안정성 보고서에 따르면 포트폴리오 투자 자금은 각국의 개별요인보다는 글로벌 상황에 더 민감하다는 지적이다.
IMF는 미국 연준의 정책 효과가 각국의 개별요인보다 시장 불안에 더 크게 작용한다고 봤다. 이는 현지 정치권이 위기의 교훈을 바탕으로 양질의 정책을 추진하더라도 여전히 금융시장 불안에 노출될 수 있다는 얘기다.
IMF는 보고서 가운데 상당부분을 할애해 이러한 주장과 논거를 제시했다.
이 가운데 최근 성장세가 확대하고 있는 신흥국 채권시장의 경우 이 같은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채권펀드의 경우 일반투자자들은 기관투자자들보다 글로벌 투자흐름이나 시장 심리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흥시장에서 채권투자자들의 민감도는 주식투자자들에 비해 2배 높았다.
여기에 언제든지 매도가 가능한 오픈엔드 펀드들이 늘어나고 규제완화로 유동성 조건도 개선되면서 변동성이 증가해 금융시장의 타격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는 지적이다.
신흥시장에 투자하는 채권형 펀드의 경우 반드시 긍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다.
이들 펀드는 단순히 수익률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비교적 중장기로 신흥국 경제 성장에 따른 과실을 노리는 주식형 펀드와는 달리 단기간에도 언제든지 빠져나갈 수 있다.
IMF는 미국이나 영국보다 유럽계 펀드가 글로벌 정책 변동에 따른 투자심리 변화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 美연준 결정이 투자심리 좌우…시장 불안
IMF의 지적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 신흥국 시장은 글로벌 자본시장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신흥국 시장에서 펀드매니저들에 의해 자본이 대량 인출될 경우 현지에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요가 없어 시장은 붕괴되는 모습을 보인다.
지난해 8월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세계 중앙은행 회의에서 헬렌 레이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는 연준이 글로벌 투자자들의 위험선호를 좌우하는 방법으로 금융사이클의 영향을 주고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글로벌 채권시장의 자금 흐름 측면에서 볼 때 레이 교수의 주장은 IMF의 지적과 일맥상통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F는 신흥국들이 자체적으로 현지 투자기반을 발전시킬 것을 조언했다.
일례로 유로존에서는 은행들이 자국 국채를 대거 사들임으로써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신흥국들이 현지에서 안정적인 시장 기반을 마련하기에는 짧지 않은 기간이 소요되며, 정책 개혁과 기업문화 등이 함께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에서 쉽지 않은 문제라고 FT는 풀이했다.
[뉴스핌 Newspim] 노종빈 기자 (unt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