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에서 이어짐>
◇부동산 공급과잉으로 보기엔 무리, 1선도시 수요 꾸준히 증가
그래픽: 송유미 기자. |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은 "중국의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차이가 너무 크다. 게다가 중국의 도시화율은 아직 53%정도"라며 "중국 부동산이 공급과잉 상태라고 보기에는 애매하다"고 말했다.
한국과 미국의 도시화율이 90%에 달하는데 비해, 중국은 아직 도시화 과정이 한 창 진행중이기 때문에 공급과잉이라고 보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1선도시 등 대도시 수요는 아직 부족하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됐다.
중국의 최근 5년간 도시화율은 연간 1.4%. 이는 연간 1900만명이 도시로 올라간다는 의미다. 거기에 1년에 1300만쌍이 결혼을 하면 3200만개의 방이 필요하다.
방 3개짜리 33평 집을 짓는다면 1000만채를 지어야 하지만 최근 중국이 짓는 주택 수량은 750만채로 기본적으로 250만~300만채가 부족하다는 설명이다.
전 교수는 최근 1년간 사실 중국 집값은 빠진적이 없으며, 단지 가격 상승폭이 둔화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중국 70대 도시 집값을 보면 68개 도시의 집값이 오르는 속도는 둔화됐지만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
최근 발생한 항저우 부동산 급락세도 사실 작년 지나치게 투기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올해들어 급락세가 더욱 도드라져 보이는 특수한 사례일 뿐, 이를 전체 중국 부동산 시장 상황으로 보는 것은 맞지않다고 전 교수는 말했다.
중국 국내 부동산 투기의 양대 세력이 저장성 원저우(溫州)와 산시(山西)인데, 고리대금업으로 부를 축적한 원저우 상인들이 거리상으로 가까운 항저우 부동산 투기에 지난 수 년간 열을 올려왔다는 설명이다. 산시성에서도 현지 주력 산업인 탄광업으로 벌어들인 막대한 돈이 대거 항저우 등 부동산 시장에 유입됐다.
게다가 중국에서 매년 연초에 부동산 거래량이 줄어드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며, 2~4월은 전통적인 중국 부동산 시장 비수기라는 점도 항저우 급락세를 과대 해석해서는 안되는 이유로 제시됐다.
전 교수는 중국 부동산 시장 상황을 판단할 때 정부 정책 변화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달 양회(兩會)에서 신형도시화 정책과 관련해 '1억 농민공의 도시정착' 계획을 밝혔는데, 이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서라도 중국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것을 정부가 용인하지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당국의 부정부패 강화 조치의 일환으로 '부동산 통일등기제'가 시행에 들어갈 것이란 점도 현재 중국 부동산 거래가 줄어드는 중요 요인이라고 전 교수는 진단했다.
그 동안 차명으로 주택 2~3개씩 이상을 보유했던 공무원을 비롯한 투기세력들 사이에서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관망세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