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성수 기자] 태평양을 장악하려는 중국의 패권주의에 맞서 주변 아시아 국가들의 군비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11일(현지시각) AP통신에 따르면 현재 세계 군수품 수입의 약 절반은 아시아 국가들이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10년간 연 국방예산을 4배로 확대했다.
[출처: www.slate.com] |
미국 민간 전략업체 스트랫포의 로버트 카플란 수석 지정학분석가는 "중국의 목표는 태평양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게끔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중국은 동·남중국해에서 베트남이나 필리핀보다 빠르게 군사력을 키울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며 "만약 중국이 인접 해역에 대한 통제권을 쥐게 된다면 명실상부한 해군 강국으로 떠오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의 해상 패권 도전에는 남중국해의 중요한 항로 확보와 동아시아 해저에 매장된 원유와 천연가스 문제도 걸려 있다.
중국 군비증강에 맞서 베트남과 일본, 필리핀도 경쟁적으로 군사력 증강에 나서고 있다. 중국과 남중국해 일부 도서를 놓고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베트남은 군비를 두 배로 늘렸다. 일본은 내년 국방예산을 역대 최대 수준인 50조원으로 확대했다.
필리핀은 과거 군사 쿠데타의 악몽으로 군비 증강에 소극적이었으나, 오는 2017년까지 18억달러(1조9200억원) 예산을 투입해서 무기 구매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AP는 아직까지 중국과의 분쟁이 외교적 수사에 그치고 있는 인도와 한국도 신형 잠수함 보강 등을 통해 빠르게 군사력을 현대화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아시아 국가들의 군비증강 움직임은 역설적으로 중국의 군사력 강화를 정당화시키는 논리가 되고 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년간 동·남중국해에서 긴장을 형성해온 것은 중국이 아닌 주변국"이라며 "(베트남과 필리핀 등) 주변국들은 자국 방어 목적에서 이뤄진 중국의 군사력 확충에 대해 민감한 시선을 거둬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는 이 지역에서의 무력충돌 가능성을 애써 부인했다.
스톡홀름 연구소의 샘 펠로 프리만 군사비 지출 부문 책임자는 "중국과 주변국 모두 직접적인 무력 충돌을 피하는 상황이라 군사력이 예비군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각국 모두 갈등이 위험 수준으로 치닫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