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5-01-27 11:43
[뉴스핌=노종빈 기자]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QE) 결정에 따라 막대한 유로화 자금이 아시아로 향할 가능성에 투자자들이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26일(현지시각) 금융전문지 배런스는 유로화 자금은 과거 달러화 자금 유입 당시의 영향력에 비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지난 22일 ECB의 양적완화에 따라 유럽의 낮은 자금조달 비용을 활용,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상품에 투자하는 유로화 캐리 트레이드가 활성화돼 아시아 신흥시장 투자처로 자금이 옮겨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즉 유로캐리 자금이 중국과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의 안전자산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또다른 요인으로 아시아 등 신흥시장에서 올해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출구전략으로 인한 자금유출이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미국 연준은 과거 양적완화의 전성기 때 월 850억달러 규모를 공급했는데 현재 ECB는 이에 약간 못미치는 월 600억유로를 공급할 예정이며 일본은행(BOJ) 역시 지난해 말 월 10조엔 규모의 공급량 증가를 발표했다.
결국 미국의 경제 흐름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 경제에 대해 최근 주요 투자은행(IB)들로부터 달러 강세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올해 중 기준금리 인상 등의 이슈가 남아 있어 유럽 등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점에서는 미국이 새롭게 떠오르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ECB의 양적완화 결정 자체는 통화공급량을 늘려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높이는 게 핵심 목표다. 즉 시중에 확대된 통화량이 적재적소에 배분돼 경기를 회복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는 의미다.
결국 자금을 적재적소에 공급하고 경제를 되살리는 것은 정부나 민간 기업들의 몫이다. 즉 ECB의 양적완화는 디플레이션 등 최악의 상황을 예방하고 자연스럽게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시간을 벌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유럽의 양적완화가 아시아 수출기업들의 대유럽 수출에는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 장기적으로 유럽경제가 회복세를 보인다면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수출기업들에 일단 긍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당분간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경제나 수요가 빠르게 회복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단기적으로는 유로화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아시아 수출기업들의 유럽지역 매출액이나 수익성도 낮아질 수 있다.
배런스는 이 같은 요인들을 종합할 때 유럽에서 흘러나온 자금은 아시아보다는 먼저 미국으로 향하게 될 것이라 분석했다.
배런스는 또 아시아 시장에 자금이 유입되더라도 미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한국과 일본, 중국의 수출업종 종목 쪽이 하이일드(고금리) 채권보다 더 인기를 얻을 것으로 내다봤다.
소재용 하나대투증권 이코노미스트는 "ECB의 통화완화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국 연준의 통화완화 정책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실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주식시장은 ECB보다는 연준의 통화완화에 더 우호적으로 반응해 왔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노종빈 기자 (unt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