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생산성' 월가 새 화두 급부상, 왜?

기사등록 : 2015-06-18 04:2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월가 통화정책 행보 관건은 고용 아닌 생산성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생산성이 월가의 화두로 급부상했다. 월가 투자은행(IB) 사이에 생산성의 저하를 둘러싼 논란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장기적인 경제성장의 핵심 축에 해당하는 생산성이 지속적으로 둔화되자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한 갑론을박이 뜨겁다.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앞으로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이 고용과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생산성 하락에 휘둘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구글[출처=AP/뉴시스]
 시간당 경제적 산출물에 근거해 집계하는 미국 노동 생산성은 지난 4년간에 걸쳐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저조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연율 기준 4년간 미국 노동 생산성은 1% 아내로 떨어진 상황이다. 이는 1980년 전후 4년을 제외하고 역대 최저 수준에 해당한다.

미국 경제가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 침체를 탈출했고, 고용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성장률과 생산성이 지극히 저조한 것은 가볍게 여길 문제가 아니라는 데 월가 이코노미스트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진단은 크게 엇갈린다. 무엇보다 최근 수년간 생산성 저하가 추세적인 흐름인지 아니면 단기적인 현상인가를 놓고 월가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골드만 삭스는 무엇보다 최근 생산성 저하가 1980년 전후 상황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과거에는 생산성 저하가 기업 이익률 하락과 인플레이션 상승, 주가 밸류에이션 하락 등을 동반했지만 이번에는 생산성이 저조하지만 기업 이익률이 사상 최고치에 이르고 인플레이션은 바닥권이라는 얘기다. 주가 밸류에이션 역시 과거와 극명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다.

골드만 삭스의 얀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제의 실질적인 생산성을 통계 지표에서 나타나는 것만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며 “IT 기술 발전에 따른 효과를 양적으로 평가할 수만은 없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가령, 소프트웨어의 가격이 지난 20년간 완만하게 하락했으나 상품의 질은 크게 향상됐다는 얘기다. 이 같은 질적 측면의 진보를 경제적 측면에서 평가하는 데 기존의 생산성 지표는 충분하지 않다고 그는 강조했다.

구글 이용자들이 어떤 비용도 지불하지 않지만 구글은 광고를 통해 매출을 창출하는 등 기업의 수익 구조 변화도 생산성 지표가 모두 설명하지는 못한다는 지적이다.

골드만 삭스는 생산성 지표가 둔화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를 근거로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후퇴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반면 JP모간은 IT를 주축으로 한 상품과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생산성 지표 추이가 시기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며 골드만 삭스의 판단에 이견을 제시했다.

생산성 지표 저하와 기술 및 질적 향상과의 연관 관계를 정부가 나서 1996년부터 연구하고 있지만 설득력 있는 단서를 찾아내지 못했다는 얘기다.

JP모간의 마이클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휴대폰을 포함한 첨단 IT 기술과 상품이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것은 금융위기 이전”이라며 “때문에 미국 경기침체 탈출 이후 생산성 저하를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제조업의 비중이 여전히 지배적이고, 이 부문의 생산성 역시 둔화되고 있어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다고 JP모간은 주장했다.

이와 별도로 생산성 지표 후퇴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와 폭에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도이체방크는 17일(현지시각) 보고서를 내고 생산성 저하로 인해 연준의 초기 금리인상 속도가 시장의 예상보다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통화정책 정상화 이후 긴축을 멈추는 시점까지 최종 금리 수준이 예상보다 낮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도이체방크는 연준 정책자들이 향후 생산성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준이 제시한 인플레이션 및 고용 지표 전망치가 현실화되기 위해 요구되는 생산성이 현 수준을 훌쩍 넘는다는 지적이다.

도이체방크의 피터 후퍼 이코노미스트는 “연준 정책자들이 내놓은 성장률과 고용 및 인플레이션 지표를 근거로 볼 때 이들은 향후 생산성이 연율 기준 2%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현재 생산성이 1%에 못 미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커다란 괴리”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