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한은, 원화유동성 푼다.. 통안채 물량마저 조정

기사등록 : 2015-07-01 09: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발행 줄이고 중도환매 늘려..미세조정 차원 해명
[뉴스핌=김남현 기자] 한국은행이 3분기(7~9)들어 원화유동성을 푸는 분위기다. 7월분 첫 통화안정증권(통안채) 입찰 물량을 줄인 반면 중도환매(바이백) 물량을 늘리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이후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피해기업에게 금융중개지원대출로 지원하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다만 한은은 미세조정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자료제공=한국은행>
1
일 한은에 따르면 금일 실시하는 통안2년물 입찰물량을 23000억원으로 공고했다. 이는 직전 입찰이 있었던 617일 물량보다 2000억원 줄어든 것이다. 반면 직전일인 지난달 30일 진행한 통안2년 바이백은 519일 직전물량대비 3000억원 늘어난 23000억원이었다.
 
그간 통안채는 줄곧 발행이 늘고, 바이백이 줄어왔었다. 통안2년 입찰물량의 경우 이번 축소는 20121172000억원 감소한 22000억원을 기록한 이후 28개월만이다. 여타 발행종목인 1년물, 182일물, 91일물도 상황에 따라 변화는 있었지만 2년물 입찰물량 증감과 비슷한 흐름을 보여온 바 있다.
 
반면 통안2년 바이백은 201311517000억원으로 3000억원 줄어든 이후에는 줄곧 늘어왔다. 지난해 92일부터는 3000억원이 증가한 2조원으로 매회 진행해 왔었다.
 
이는 경상수지가 20123월부터 지난 4월까지 38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데다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입 등에 따른 통화공급 증가가 한몫한 때문이다. 즉 유입된 달러를 원화로 바꾸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중에 원화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풀렸기 때문이다. 한은으로서는 그만큼 원화를 흡수해야하는 요인이 발생한 것이다.
 
통안채 발행은 원화유동성을 조절하고자 하는 수단으로 쓰인다. 즉 통안채 발행이 증가한다는 것은 한은이 늘어난 원화유동성을 환수한다는 의미다. 그 반대는 한은이 원화유동성을 푼다는 개념이다. 반면, 시중에 풀린 통안채를 한은이 돼 사는 수단인 바이백은 발행과 정반대다. 즉 바이백을 늘리면 시중에 원화유동성을 공급한다는 뜻이다. 그 반대는 원화유동성을 흡수한다는 것이다. 바이백은 격월로 실시하고 있다.
 
통안채 발행 분위기가 이처럼 180도 바뀐 것과 관련해 일각에서는 한은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1.50%로 인하한 데다 금융중개지원대출을 통해 피해기업을 지원코자 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풀이하기도 했다. 즉 유동성을 추가로 풀고 있는 상황에 보조를 맞추자는 차원이다.
 
이 같은 해석은 통안채 발행물량을 매 분기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한다는 점에서 힘을 얻는다. 지난달 두 번의 금통위에서 금리인하와 메르스 피해기업의 금융중개지원대출이 결정됐기 때문이다.

다만 한은 관계자는 통안채가 유동성조절의 메인수단이 맞긴 하나 통안계정, 환매조건부채권(RP) 등도 있어 전체적으로 봐야한다. 또 지준 공급과 수요가 바뀌는 것도 있어 이같은 조치로 꼭 유동성이 늘었다고 보기도 어렵다정부와 민간쪽 등 전체 유동성 상황을 고려해서 미세조정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김남현 기자 (kimnh21c@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