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8월 4일 오후 4시56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ANDA’에서 먼저 출고했습니다.
[뉴스핌=김사헌 기자] 금융시장보다 늘 앞선다는 투자 능력에다 심지어 일국 정부의 권력도 무찌를 힘이 있다던 '무적의 헤지펀드'가 평균을 추구하는 금융상품인 상장지수펀드(ETF) 앞에 무릅을 끓었다.
이유는 간단하다. 0.3% 정도의 수수요 비용을 들여서 시장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갈 수 있는 획기적인 상품이 매년 2%의 수수료와 20%의 성과보수를 챙기면서 실적이 갈수록 악화되는, '불투명한' 분산 투자 전략의 헤지펀드 인기를 앞지른 것이다
특히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는 헤지펀드 운용 실적이 엉망이 되면서, 연기금과 같은 대형 장기자산 운용 기관이 운용처로 비용이 높은 헤지펀드를 이용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돼 주목된다.
미국 최대 공적 연금인 캘퍼스(CalPERS; California Public Employees' Retirement System)의 신임 최고운용책임자(CIO)가 헤지펀드 포트폴리오를 청산했다는 소식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높은 비용에 비헤 운용실적이 크게 낮아진 것은 물론 투명하지 않은 투자전략과 실패 사례에다, 앞세오고 있는 단기 변동성 완화 전략이나 운용자산 규모 면에서도 연기금이 자산을 굴리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 헤지펀드 운용자산, ETF에 추월당해
영국 시장조사 업체 ETFGI가 지난달 2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현재 5823개에 달하는 글로벌 ETF/ETP 전체 운용자산은 2조9710억달러로 집계됐다. 헤지펀드리서치(HFR)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같은 시점 8497개의 헤지펀드 총 운용자산은 2조9690억달러였다.
글로벌 ETF 운용자산 규모는 올해 5월 말 기준 3조150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소폭 줄어든 것인데, 전체 운용자산 규모가 66년 역사의 헤지펀드를 넘어선 것은 ETF가 도입된 지 25년 만에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ETF 상품이 헤지펀드에 비해 훨씬 낮은 수수료 비용에다 투명성과 신뢰성 높은 기준지수 추적 오차 실적 등의 장점을 가졌기 때문에 이 같은 변화가 가능했다고 평가한다.
올해 상반기 중 ETF에는 1523억달러의 신규자금 유입돼 헤지펀드로 순유입 규모 397억달러를 세 배 이상 뛰어 넘었다.
이런 대조적인 양상은 단지 ETF가 지닌 장점 외에도 헤지펀드의 운용 실적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999년까지만 해도 ETF의 운용자산은 헤지펀드의 십분의 일에 불과했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ETF는 헤지펀드와 함께 전통적인 자산운용사의 뮤추얼펀드와 '액티브' 펀드매니저를 잠식하면서 성장했다.
◆ '델타' 밑돈 헤지펀드의 '초라한 알파'
헤지펀드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헤지펀드종합지수의 상승률은 2.3%에 그쳤다. S&P500 지수 상승률을 간신히 1.3%포인트 앞지른 것이다. 앞서 2001년부터 2014년 사이 4년 동안 헤지펀드지수와 S&P500지수 변동률을 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1990년대 황금기 때 헤지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7년이나 계속 두 자릿수를 웃돌았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는 두 자릿수 수익률을 낸 해가 세 차례에 그쳤고, 2010년대에 들어서 두 자리 수익률을 기록한 해는 한 차례에 그쳤다.
더구나 1990년대에는 한 차례도 연간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경우가 없었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세 차례나 수모를 겪었고 이에 따라 명성이 크게 훼손됐다.
헤지펀드 업계는 늘 자신들이 시장이 상승하든 하락하든 상관없이 지속적인 수익를 낼 수 있다고 자랑해왔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헤지펀드는 막대한 손실을 냈다.
게다가 최근 위기가 지나가면서 주요 벤치마크가 급격하게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헤지펀드는 상대적으로 초라한 성적에 그쳤다.
물론 아직도 기업 인수합병(M&A)이나 부도직전 회사채에 대한 투자 등 폭발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는 '틈새시장'이 열려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정도 좁은 기회로는 평균적인 헤지펀드 산업의 투자 성과를 끌어올리기엔 역부족이다.
금융위기가 발생한 뒤에 헤지펀드는 목표로 삼는 고객층이 바뀌었다. 초고액자산가에서 연기금 등과 같은 대형기관의 운용사로 방향을 바꾼 것이다.
이 때부터 헤지펀드는 절대 수익률을 내세우지 않는 대신 자산운용의 다각화 능력과 단기 투자수익률의 안정성을 부각시켜왔다.
◆ 캘퍼스, 헤지펀드 포트폴리오 청산
그러나 연기금과 같이 장기간 투자자산을 운용하는 경우에는 단기 수익률 변동성이 낮다는 것이 큰 의미가 없고, 장기적으로 변동성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연기금은 부동산이나 사모펀드와 같은 비유동적인 자산에 대한 전략적 투자가 가능한데, 이런 투자 전략은 헤지펀드를 운용처로 활용해야 하는 이유가 되지 않는다.
헤지펀드의 전체 운용자산 3조달러가 36조달러에 달하는 연기금 업계의 자산에 비해 너무 작다는 지적도 있다.
이는 연기금이 전체 자산의 10%를 헤지펀드에 운용해서 2%의 초과 수익률을 얻는다고 해도 전체 총자산 수익률이 0.2% 높아지는 정도의 효과 밖에 기대할 수 없다는 말과 같다는 것이다.
한편, 헤지펀드의 실패나 문제점이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연기금 관리자는 헤지펀드의 전략과 그 위험을 이해하는 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 때문에 미국 최대 공적연금인 캘퍼스가 올해 외부운용사를 줄이면서 헤지펀드 포트폴리오를 대거 청산하기로 한 것이 놀랍지 않다는 지적이다. 캘퍼스는 현재 운용수수료 비용 0.34%를 0.25% 아래로 떨어뜨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문가들은 미국 장기 국채금리가 2% 수준인 상황에서 일부 적자를 내고 있는 연기금이 7%~8%의 비현실적인 투자수익률 목표를 세우고선 헤지펀드가 해답이하고 주장하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연금 기여를 높이거나 지급률을 낮추든지 해야지 이를 헤지펀드로 때우려는 발상은 위험한 일이라는 것이다.
한편, 글로벌 연기금은 포트폴리오 내에서 액티브 전략을 줄이고 패시브 전략을 늘리는 추세다. 이는 주식시장 등 주요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진 가운데, 운용 수수료 고비용 구조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흐름으로 판단된다.
'액티브 알파' 전략은 잦은 매매에다 위험자산에 대한 노출이 높기 때문에 최근 패시브 베타 전략에도 못미치는 성과를 내고 있다. 최근에는 낮아진 자산운용 수익률에다 금융시장의 방향성 혼란으로 인해 액티브에 비해서는 저비용에다 위험이 낮고 패시브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스마트베타'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사헌 기자 (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