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월가 구루 비관 일색 ‘패닉 이제 시작”

기사등록 : 2015-08-22 04:1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매도 전염, 중국 경제 시장 판단보다 심각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글로벌 증시가 자유낙하를 연출하는 가운데 월가의 투자 구루와 경제 석학들은 비관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국 경제의 실상이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심각하며, 원자재 가격 하락이 글로벌 경제에 극심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다.

위안화[출처=블룸버그통신]
일부 시장 전문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월가의 시스템 리스크를 촉발시킬 가능성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월가의 대표적인 공매도자로 꼽히는 짐 채노스는 21일(현지시각) CNBC와 인터뷰에서 중국 경제가 시장의 판단보다 더욱 급격하게 꺾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 경제는 시장의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상황”이라며 “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의 증시 부양책을 투자자들 사이에 패닉을 초래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는 데 전능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투자자들이 마침내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지출부터 GDP 성장률까지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가 일제히 경기 하강을 확인시켜주고 있고, 투자자들이 우려해야 할 부분도 단순히 주가 낙폭이 아니라 실물경기 악화라고 강조했다.

로버트 쉴러[출처=신화/뉴시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쉴러 예일대학교 교수는 글로벌 증시의 폭락장이 가시화되기 앞서 증시 과열을 경고한 바 있다.

이날 쉴러 교수는 최근 주가 급락에 이어 더욱 큰 폭의 주가 조정이 찾아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패닉 매도가 추가적인 여진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는 “투자자들이 패닉 매도에 나설 때 이 같은 움직임 자체가 전염되는 현상을 보이게 마련”이라며 “하지만 주가 조정이 영원히 지속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월가의 대표적인 비관론자인 마크 파버도 경고의 목소리를 높였다. 뉴욕증시가 지난 6월 중순 이후 중국이 보인 폭락장을 연출할 것이라는 얘기다.

닥터 둠으로 통하는 파버는 이날 폭스 비즈니스 네트워크와 인터뷰에서 “뉴욕증시가 글로벌 주요 증시 가운데 사실상 유일하게 버티는 지역이지만 결국 중국과 동조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주요 기업의 중국 매출 의존도가 상당히 높고, 이 때문에 기업 수익성과 주가가 하락 압박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는 “최근 13개월 사이 이머징마켓에서 1조달러에 달하는 자금이 빠져나갔고, 미국 역시 이에 따른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인민은행의 위안화 평가절하와 관련, 파버는 “누구도 정확한 배경을 알지 못한다”며 “대규모 자본 유출에 따른 결정일 수도 있고,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에 대한 경고 신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 최고투자전략가는 원자재 버블 붕괴가 글로벌 경제를 강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원유 저장 시설[출처=블룸버그통신]
최근 2년간 상품시장의 폭락을 경고했던 그는 “올해 상품시장 버블이 무너질 것이라는 전망이 정확히 맞아떨어졌다”며 “이로 인해 글로벌 경제가 불황에 빠져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국제 유가가 이날 장중 배럴당 30달러 선으로 밀린 한편 주요 상품 가격이 13년래 최저치로 밀린 상황이다.

이 밖에 헤지펀드 업체인 시브리즈 파트너스 매니지먼트의 더그 카스 대표와 앨런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이 경제 위기를 경고했다.

카스 대표는 “글로벌 경제가 위기로 치닫고 있다”며 “초저금리가 금융자산 가격을 부풀렸지만 실물경기를 살려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용시장 버블이 과거 도쿄 부동산과 닷컴 버블, 서브프라임 모기지 버블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은 미국 경제가 극심하게 취약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생산성이 제로 수준으로 치닫고 있고, 경제 성장의 핵심 엔진에 해당하는 자본 투자가 마비된 상태라는 지적이다.

연준의 비전통적 부양책이 강력한 경기 부양 효과를 내지 못한 것도 자본 투자가 살아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