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ANDA칼럼] 문화산업 육성에 거는 기대

기사등록 : 2015-09-04 15: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유화업계의 공멸." 지난 2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석유화학업종의 선제적 구조조정 필요성'을 언급하며 한 말이다. 업계의 공급 과잉 문제를 두고 한 발언이지만 '공멸(共滅)'이라는 단어가 요즘 말로 '어마무시'한 위기감으로 다가온다.

지금까지 한국경제를 이끌어온 제조업 구조의 한계는 이번 발언의 배경에도 고스란히 녹아 있다. 사실 한계에 직면한 제조업은 석유화학뿐만 아니라 전자, 자동차, 철강, 조선 등 수출 주도형 제조업 전반이다. 그동안 제조업 구조가 한국경제의 성장동력이었지만, 이제는 역설적으로 한국경제의 공멸을 우려할 정도로 걱정의 중심이 된 셈이다.

최근 몇 년간 재계의 화두가 '미래 먹거리'가 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기존 국가 대표 경쟁력으로 꼽혀오던 제조업이 중국의 거센 추격으로 뒤처지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업종을 불문한 고민이 시작된 것이다. 주요 기업들은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바이오, 헬스, IT 등 다양한 업종에 진출하고 있다.

최근 CJ그룹의 문화산업 육성책이 주목을 끄는 것도 이런 배경이다. 저성장 시대가 현실화되고 전반적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거의 유일한 성장 가능성을 보이는 것이 문화산업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력 성장동력이던 제조업의 성장은 중국의 추격으로 그 곡선이 꺾인지 오래다. 2000년 이후 세계 수출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7~3.0% 수준에 불과한 반면 2000년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3.9%의 중국은 2013년 12.1%를 넘어섰다.

2003년 기준 글로벌 점유율 41%를 점했던 한국 조선은 10년만에 31%로 내려앉았고 같은 기간 중국은 14%에서 35%로 급격하게 성장했다. 자동차시장의 점유율은 지난 10년 간 5%에서 10%로 2배가량 성장했지만 중국이 같은 기간 5%에서 13%로 신장하면서 우리나라를 따돌렸다.

이에 반해 국내 문화산업 시장은 매년 8% 이상 성장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중이다. 2009년 67조원에 불과하던 문화산업은 지난해 97조원까지 신장했다. 주목할 점은 문화산업이 단지 업종의 호재로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문화산업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파급효과다. 한국의 문화가 알려지며 자연스럽게 한국 브랜드가 강화되고 이에 대한 유관 산업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한류 검색량이 급증한 2009년 이후 화장품 수출이 급증했다는 점이 그 반증이다. 최근 한류열풍은 4조1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를 가져왔지만 관련 산업의 파급력은 생산유발효과가 8조5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불경기에 거의 유일한 성장동력을 보이면서 동시에 관련 산업에 전반적인 신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이야기다.

'고용 없는 성장'→ '중산층 붕괴'→ '내수소비 위축'→ '대외 의존형 구조 심화'→ '수출 주도형 제조업의 비중 상승'이라는 한국 제조업 구조 한계의 악순환 고리. 내수경제 활성화의 키를 쥐고 있는 고용의 측면에서도 문화산업은 상당한 효과가 있다.

한국의 대표 수출 품목인 스마트폰 등 전자업종은 지난 1990년 고용유발계수(10억원의 매출이 일어났을 때 생기는 일자리의 수)가 38명이었다. 그러나 지난 2011년에는 5.1명으로 급전직하했다. 자동차가 포함된 수송장비 업종의 고용유발계수 역시 1990년 27명에서 2011년 5.7명으로 급락했다.

반면 문화·컨텐츠가 포함된 문화서비스업의 고용유발계수는 12.4명으로 한국 대표 제조업종보다 높다.

그러나 중국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중국 정부는 직접나서 문화 육성 정책을 내세우며 빠르게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2000년 중반까지 저임금 노동력에 기반한 수출 제조업 중심의 고성장을 이뤘다면, 앞으로는 문화서비스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키우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강력하고 실력 있는 신형 미디어 그룹을 만들겠다"고 밝힌 점은 의미심장하다.

이런 상황에서 CJ그룹이 문화사업에 대해 과감한 투자를 한다니 반길일이다. 향후 5년 동안 10조원 가량을 쏟아부어 문화산업을 국가대표 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게 CJ그룹의 목표다. 다만 이같은 목표가 제대로 이루어져 한국경제의 해비급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 CJ그룹이 처해있는 상황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중국이 다롄완다그룹 등을 중심으로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만큼 이들과 경쟁해야하는 CJ그룹에게 향후 5년은 사업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시기다. 지금이 골든타임인 셈. 하지만 CJ그룹은 장기간의 총수 공백으로 의사결정이 느려지면서 적기에 투자하지 못하고 결단의 순간에 주저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10조원 투자계획이 적재적소에, 그것도 결정적 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결과는 불보듯 뻔하다. 

이재현 회장의 빈자리가 어느때보다 아쉽고 또 각별하다는 게 문화산업 업종 전략가들의 목소리다. 


[뉴스핌 Newspim] 이강혁 유통부장 (ik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