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르포] 가스공사, 美 LNG 연 280만톤 들여온다

기사등록 : 2015-10-21 15:5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액화기지 70% 공정률...2017년부터 20년간 도입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채산성 악화로 고사 위기에 몰렸던 미국 셰일가스 산업이 채굴기술의 진화와 함께 '제2의 붐'을 맞고 있다.

에너지업계 일각에서는 여전히 셰일가스에 대해 비관적으로 보지만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주대륙에서는 관련 산업들이 새롭게 활기를 찾고 있다.

그중에서도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로 활용돼오다 최근 수출기지로 변모한 '사빈패스(Sabine Pass) LNG 터미널'이 대표적이다. 이곳에 한국가스공사가 계약한 액화트레인 공장이 건설중이고, 현재 7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오는 2017년부터 20년간 연간 280만톤의 LNG를 우리나라로 들여올 예정이다. 이는 가스공사 연간 수입량의 약 10%에 해당한다.

◆ 美 사빈패스 LNG터미널 수출기지로 변신

미국 남부도시 휴스턴에서 자동차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사빈패스 LNG터미털은 멕시코만 연안을 끼고 중남미지역의 LNG 수입을 주도해 온 지역이다.

우리에겐 다소 낯설지만 미국에서 한창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기업 셰니에르(Cheniere)가 이 터미널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직접 운영하고 있다.

▲미국 사빈패스 LNG터미널 전경
기자가 찾아간 12일(현지시각) 오전 사빈패스 터미널은 대규모 액화설비공장을 건설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액화트레인 2곳은 이미 완공됐고 한국가스공사가 계약한 3번 트레인도 7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었다.

미국은 그동안 사빈패스를 LNG 인수기지(수입항)로 활용했지만 셰일가스가 상업화에 성공하면서 LNG 수출을 허가했다. 사빈패스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셰니에르의 주가는 미주지역의 셰일가스 혁명을 대변하는 하나의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1달러 수준에 불과했던 셰니에르 주가는 2012년 4월 미 연방에너지위원회(FERC) LNG 수출을 허가하자 60달러 수준까지 치솟았다가 최근 40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사빈패스 터미널의 엔지니어링 총괄책임자(수석부사장) 대론 그랜저(DARRON GRANGER)는 "사빈패스 터미널은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LNG 생산설비"라면서 "내년에 액화설비 공사가 완료되면 연간 2400만톤의 LNG를 생산하는 수출기지가 된다"고 강조했다.

◆ 에너지 의존도 다원화…"사빈패스 전략적 가치 커"

사빈패스 프로젝트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80%를 웃도는 중동지역 에너지 의존도를 미주지역으로 다원화하는 신호탄이기 때문이다.

오는 2017년부터 연간 280만톤의 LNG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는 가스공사가 연간 수입량의 약 10%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계획이 현실화되면 중동 및 아시아지역의 도입단가를 보다 낮추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미국이 LNG 수출 대상을 FTA 체결국가로 제한하면서 일본이나 중국 등 경쟁국에 비해 LNG 수입전략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더불어 수입지역을 제한하는 '목적지 조항'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국내 수요가 줄어들 경우 제3국으로 수출할 수도 있다. 에너지 빈국인 우리나라가 천연가스를 제3국에 수출할 수 있는 전진기지를 미국땅에 세운 것과 같다.

김보영 한국가스공사 미주지사장은 "오는 2017년부터 연간 280만톤의 LNG를 도입할 수 있는 계약을 체결한 상태"라면서 "에너지 의존도를 다원화하고 국내 수요를 웃도는 물량을 제3국으로 수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빈패스의 터미널의 전략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 美 셰일가스업계, 채굴기술 진화로 '제2의 붐'

문제는 미주지역을 비롯한 전 세계 셰일가스의 채산성이 얼마나 받쳐주냐는 것이다. 중동지역 원유 생산비가 배럴당 20~30달러 수준이고 비(非)중동지역이 40~50달러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60~70달러 수준은 경쟁력이 떨어진다.

하지만 채굴기술이 빠르게 진화되면서 미국의 생산비도 50달러 수준으로 낮아지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셰일가스 업계는 채굴기술 진화로 '제2의 붐'이 일고 있다. 한때 채산성 악화로 업계가 전부 도산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기만 기술의 진보는 셰일가스를 에너지 혁명의 주인공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셰일가스 수압파쇄공법 개념도
셰일가스 채굴공법이 처음으로 개발된 것은 1998년이다. 채굴업자 조지 미첼이 수평시추공법과 수압파쇄공법(프래킹)을 상용화하면서 셰일가스를 상업화하는데 성공했다(그림 참조). 하지만 배럴당 70~80달러 수준의 생산비용 때문에 채산성이 맞지 않아 도산하는 업체가 속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채굴기술이 더욱 진화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탐사능력이 고도화되면서 배럴당 생산비가 50달러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제2의 호황을 맞고 있다. 때문에 1970년대 오일쇼크의 여파로 에너지 수출을 금지했던 미국도 가스 수출을 시작으로 원유 수출까지 적극 검토하고 있다.

김보영 지사장은 "미국의 천연가스 생산량 중 셰일가스 비중이 2012년에 40% 수준이었으나 2025년에는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채굴에 사용되는 시추탑이 7개월 만에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