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유가 폭락에 따른 충격이 석유업계는 물론이고 여신을 제공한 금융권까지 강타할 것이라는 관측이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미국 은행권의 부실 여신이 대폭 증가, 신용 리스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원유 저장 설비 <출처=블룸버그통신> |
이는 국제 유가 폭락 및 저유가의 장기화에 따른 파장이라는 것이 정책자들과 시장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석유 업계의 대출 담보 가치가 하락한 데다 원리금 상환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벌어진 현상이라는 것.
국제 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밑돌면서 석유 가스 업체들이 극심한 수익난에 시달리고 있다. 자산 가치가 급락한 동시에 현금흐름이 마비된 데 따른 신용 리스크가 은행권으로 확산되는 상황이다.
석유 가스 업체들의 대출 총액은 2765억달러에 달하며, 대형 여신 가운데 이들 업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7.1%에 이른다.
석유 업계 이외의 여신 역시 대출 요건 완화와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해 은행권의 신용 리스크가 상승하는 추세라고 감독 당국은 밝혔다.
이에 따라 은행권의 대출 포트폴리오 점검과 리스크 관리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부실 여신 발생에 대비한 충당금 설정과 대출 담보물 기준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저유가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며, 석유가스 업체들의 디폴트 리스크가 점차 높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주요 은행의 에너지 관련 부실 자산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씨티그룹의 경우 3분기 신용 비용이 전분기에 비해 상승했고, 2분기 연속 에너지 관련 여신에 대한 충당금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섹터 여신에 대한 충당금 증가분이 총 1억4000만달러로, 전체 충당금 증가액의 절반을 차지했다.
웰스 파고 역시 전체 여신 가운데 에너지 섹터의 비중이 2%에 불과하지만 관련 대출에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또 석유 산업의 불황으로 인해 주택시장과 가계 소득에 타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기지 대출에서도 부실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유가 폭락에 따른 충격이 석유업계는 물론이고 여신을 제공한 금융권까지 강타할 것이라는 관측이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미국 은행권의 부실 여신이 대폭 증가, 신용 리스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6일(현지시각) 미국 금융감독 당국에 따르면 은행권의 부실 여신이 올들어 9.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요주의 여신의 비중 역시 18.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 유가 폭락 및 저유가의 장기화에 따른 파장이라는 것이 정책자들과 시장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석유 업계의 대출 담보 가치가 하락한 데다 원리금 상환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벌어진 현상이라는 것.
국제 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밑돌면서 석유 가스 업체들이 극심한 수익난에 시달리고 있다. 자산 가치가 급락한 동시에 현금흐름이 마비된 데 따른 신용 리스크가 은행권으로 확산되는 상황이다.
석유 가스 업체들의 대출 총액은 2765억달러에 달하며, 대형 여신 가운데 이들 업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7.1%에 이른다.
석유 업계 이외의 여신 역시 대출 요건 완화와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해 은행권의 신용 리스크가 상승하는 추세라고 감독 당국은 밝혔다.
이에 따라 은행권의 대출 포트폴리오 점검과 리스크 관리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부실 여신 발생에 대비한 충당금 설정과 대출 담보물 기준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저유가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며, 석유가스 업체들의 디폴트 리스크가 점차 높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주요 은행의 에너지 관련 부실 자산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씨티그룹의 경우 3분기 신용 비용이 전분기에 비해 상승했고, 2분기 연속 에너지 관련 여신에 대한 충당금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섹터 여신에 대한 충당금 증가분이 총 1억4000만달러로, 전체 충당금 증가액의 절반을 차지했다.
웰스 파고 역시 전체 여신 가운데 에너지 섹터의 비중이 2%에 불과하지만 관련 대출에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또 석유 산업의 불황으로 인해 주택시장과 가계 소득에 타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기지 대출에서도 부실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