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을 필두로 글로벌 주요국의 통화정책을 둘러싼 논란이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른바 ‘포스트-위기’ 통화정책이 단순히 기준금리의 상승 혹은 하락에 국한된 사안이 아니라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와 금융시장 매커니즘까지 거미줄처럼 얽힌 문제라는 것.
미국 연준(Fed)의 통화정책 회의 현장 <출처=신화/뉴시스> |
뿐만 아니라 기준금리 조정이 금융시장에 일으키는 파장 역시 시장금리 등락 이외에 과거와 다른 진폭으로 확대될 수 있어 투자자들이 긴장하는 표정이다.
폴 도노반 유비에스(UBS) 글로벌 이코노미스트는 “상당수의 투자자들이 여전히 통화정책을 단선적인 이벤트로 여기고 있지만 실상 다면적인 문제로 발전했다”며 “통화정책의 결과가 더 이상 이원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금리인상에 따른 자금 조달 비용 상승 이외에 정책 변경에 따라 자금 순환 속도가 달라질 수 있고, 양적완화 기조가 유동성 공급 규모를 좌지우지한다.
미국의 12월 긴축 여부 및 이후 속도가 표면적인 화두로 지목되고 있지만 각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이외에 다각적인 통화정책으로 시중 유동성과 자산시장을 통제할 것으로 투자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일례로, 영국 영란은행(BOE)은 사상 최저금리를 상당 기간 유지하는 한편 금융권의 자본 요건을 강화해 과잉 유동성을 축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고객 서비스도 달라지고 있다. UBS는 투자 보고서를 통해 정책 금리 전망뿐 아니라 연준의 대차대조표 전망치까지 제시하고 있다.
2017년 말까지 연방기금 금리가 2.5%까지 오르는 한편 대차대조표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25%에서 20% 가량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다.
일부에서는 국채 발행 물량이 시장금리를 통제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중앙은행뿐 아니라 재무부의 행보까지 맞물려 시장금리와 자금시장이 복잡한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딜러들은 내년 미국 국채 순발행 규모가 27%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장의 예상대로 신규 국채 발행이 4180억달러에 그칠 경우 2008년 이후 최저치가 되는 셈이다.
여기에 미국 재무부가 만기 1년 미만의 단기물 국채 발행에 중점을 두는 상황도 시장금리 등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워드 맥카시 제프리스 그룹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장기물 금리의 상승 속도가 느려질 것”이라며 “재무부가 단기물 국채 발행에 주력하면서 장단기 시장금리 등락 구조에 변화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금리인상에도 국채 발행 급감으로 인해 내년 금리인상 폭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