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박민선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대우증권을 품고 증권업계 새 시대를 선포했다. 자기자본금 8조원, 고객자산 200조원의 초대형 증권사다. 국내 증권업 역사상 최대 변화가 목전에 왔다.
미래에셋증권의 대우증권 인수를 계기로 자기자본 3조원 안팎을 중심으로 꾸려졌던 5대 대형 증권사 중심 시대는 절대적 1강 체제로 바뀌게 된다. 그동안 갖가지 한계에 부딪혀 이렇다 할 성과를 보이지 못했던 글로벌 시장에서도 해외IB들과 어깨를 견줘볼 만한 어느정도 여건이 형성됐다.
대우증권의 대주주인 산업은행은 24일 이사회에서 대우증권과 산은자산운용 매각을 위한 본입찰 평가를 완료하고 우선협상대상자를 발표했다. 유력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미래에셋증권의 본사 사옥.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 자본력·브랜드파워, 최강자의 탄생
일단 대우를 품에 안으면서 미래에셋증권의 국내 시장내 입지는 공고해질 전망이다. 감히 2위가 넘볼 수 없는 절대 강자의 지위를 확실히 굳히게 됐다는 데 이견을 달 사람이 없을 정도. 미래에셋증권이 그동안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쌓아온 자산관리 분야의 강점이 증권업계 '1위 브랜드'로 불리는 대우증권의 다양한 경험과 합쳐질 경우 시너지는 폭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IB분야에서 대우증권은 최고 증권사로 통한다. IPO시장에서 대어급들의 상장을 주도하는 것은 물론 DCM(채권발행시장)에서도 상위 1,2위 자리를 점하고 있다. 반면 미래에셋증권은 중소형사 관련 IB딜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합병시 미래에셋증권 전체가 갖는 IB시장에서의 경쟁력은 막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 대우증권의 브로커리지 부문은 국내 100여개 점포를 중심으로 업계 최강자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미래에셋증권이 특화돼 있는 자산관리 부문과 결합될 경우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본금 확대로 인해 투자 여력 역시 크게 늘어난다. 당장 대출 가능 규모는 8조원(자본금의 100%)까지다. 어지간한 지방은행과 비슷한 수준이다. 레버리지를 일으켜 조달할 수 있는 자금 규모도 무려 80조원 수준까지 가능해지는 셈이다.
또한 미래에셋증권(65조원)과 대우증권(141조원)의 고객 자산이 200조원을 넘어서게 되면서 상품 경쟁력 역시 월등히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의 경우 그동안 자기자본의 한계로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못했던 M&A 등에 참여할 수 있는 여력이 생겼다. 국내 시장에서의 사업만으로는 ROE를 맞추는 것의 무리가 있는 만큼 미래에셋의 해외 사업 확대는 이미 당위성까지 확보한 상태.
해외 무대는 사실 자본력과 브랜드의 싸움이다. 그동안 국내 증권사들이 리스크 감내 한계 등으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미래에셋과 대우증권의 브랜드 및 해외 네트워크를 무기 삼는다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승부가 가능해진다.
무엇보다 실패시 감내할 수 있는 리스크의 범위가 이전보다 커진 만큼 성공에 대한 부담을 덜고 해외 M&A딜의 인수 참여 등 공격적인 전략을 구사해볼 여력이 생겼다는 점은 미래에셋의 운신의 폭을 한층 넓혀줄 것으로 전망된다.
장기적으로는 미래에셋그룹 내 다양한 시너지가 확대로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되는 등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해외 인지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 가능하다.
◆ 국내 증권업계 패러다임이 바뀐다
또 하나의 큰 변화는 미래에셋증권의 대우증권 인수로 국내 증권업계의 패러다임이 바뀌게 될 것이란 점이다. 미래에셋증권이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과 격차를 벌리면서 1강 독주체제는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미래에셋증권의 대우증권 인수에 대해 "적임자를 찾았다"며 "이것이 바로 내가 생각하는 금융개혁"이라고 평가했다. 당국이 내심 바라왔던 초대형 증권사 주도의 자본시장 발전이라는 그림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데 대한 기대감의 표현이다.
절대적 1위로 몸집을 키운 미래에셋증권의 변화로 인해 업계 전체가 느끼는 위기감은 한층 커지게 됐다.
금융투자업계 한 전문가는 "돈은 눈을 뭉치는 것과 같이 불어난다"며 "현재 자본금(8조원)을 기준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대우증권 인수로 인해 갖게 될 성장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경쟁사들 입장에도 다양한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일례로 과거 키움증권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면서 대출로 수익을 거뒀듯이 미래에셋증권이 대출 기반으로 수익 구도를 형성하며 위탁수수료를 '제로'로 할 경우 중소형사들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며 "불필요한 부분을 줄이고 제대로 된 수익모델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장기적으로 중소형사들은 정리대상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중소형사들의 중기 특화전략을 제시한 바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들의 생존전략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인지는 미지수다.
나란히 경쟁하던 대형사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생존전략에 적신호가 켜진 셈이다. 하지만 단기간 몸집 불리기에만 집중할 경우 자칫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적지 않아 당분간 1위 독주 체제를 지켜보며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다만 기업간 M&A시 자본금 대출 등 다양한 추가적인 수익 창출 방안을 모색하는 등 생존전략의 범위를 넓혀 고민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기자 (pms071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