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중국 추월한 인도, 약세장 위협받는 이유는

기사등록 : 2016-02-12 13:4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외국인 외면, 국영은행 부실, 내실 성장에 회의론까지

[편집자] 이 기사는 02월 11일 오전 11시2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중국보다 가파른 연 7.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인도 증시가 최근 맥을 못 추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흥국 주식시장 변동성으로 겁에 질린 해외 투자자들이 인도 주식 매수를 꺼리고 있고, 성장률 역시 충분치 않다고 지적한다.

지난 10일 인도 뭄바이거래소의 센섹스 지수(S&P BSE SENSEX)는 전 거래일보다 262.08포인트(1.09%) 하락한 2만3758.90에 마감했다. 이는 21개월래 최저치다.

인도 증시는 올해 들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센섹스 지수는 올해 9.18%나 하락하며 베어마켓(약세장) 진입을 앞두고 있다.

인도 중앙통계국(CSO)은 2016 회계연도(2015년 4월~2016년 3월) 인도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7.6%로 1년 전 7.2%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수치가 6.9%에 그친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웃돈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근 주식시장 흐름을 이해하긴 쉽지 않다.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한 중개사의 모습<사진=블룸버그통신>

◆ 계속 파는 외국인과 국영은행의 부실대출

인도 증시의 주요 지수를 끌어내리고 있는 것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전환이다. 지난 8일 해외 투자자들은 580만 달러의 인도 주식을 순매도해 올해 주식시장 자금 유출 규모를 18억 달러로 늘렸다.

이들이 인도 증시 투자를 망설이는 이유는 세계 경제 성장 불안에 따른 신흥 시장의 약세다. 연초부터 세계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는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 증시의 약세는 인도 증시의 자금 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제프리 군드라크 더블라인캐피탈 창업주 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에 "글로벌 주식시장은 추가로 떨어질 것"이라며 "인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투자 전문매체 씨킹알파는 최근 부각된 인도 국영은행의 부실대출 증가세와 세계 경제 둔화를 인도 증시의 하락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씨킹알파의 스네하 샤 애널리스트는 "지난 2~3년간 국영은행들의 부실대출 비율이 가파르게 증가했다"면서 "일부 은행들은 10%가 넘는 무수익자산(NPA) 비율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은행권의 부실대출 우려로 스테이트은행의 주가와 펀잡 내셔널은행의 주가는 올해 각각 30% 이상 하락한 상태다. ICICI은행과 액시스은행과 같은 대형 민간은행 역시 최근 부실자산 우려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세계 경제 둔화세도 위험 요인이다. 샤 애널리스트는 중국 경제가 경착륙한다면 인도 주식시장도 해외 투자금이 유출되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사진=블룸버그통신>

◆ 7%대 성장 '회의론'

7%가 넘는 성장률도 시장 전문가들을 만족시키지 못 했다. 전문가들은 성장의 내용이 부실했다고 진단하면서 잠재성장률도 밑돈 기록이라는 평가까지 내놨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마크 윌리엄스 아시아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내구재 판매가 가라앉아 있고, 신용증가도 부진하다"면서 "인도중앙은행(RBI)조차 GDP의 대체 지표에 관심을 둘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고 말했다.

도이체방크는 보고서에서 "인도의 성장률은 추세에 못 미친다"며 "현실 경제와 산업생산, 구매관리자지수(PMI), 인도경제모니터링센터(CMIE)의 설비투자 지표, 기업 및 고용 서베이 등이 훨씬 더 약한 경기 순환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볼 때 현재 GDP 지표를 이해하기 힘들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인도 정부는 7.6%의 성장률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하면서 일각에서 제기된 회의론을 경계했다.

샤크티칸타 다스 인도 재무부 차관은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 속에서 7.6%의 GDP 증가율은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면서 "개혁과 정책 이니셔티브를 계속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경제를 보면 우리는 우리 자신을 믿어야 한다"며 "회의적일 필요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김민정 특파원 (mj72284@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