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일문일답] SKB, CJ헬로 합병 후 MCN·VR에 3200억 투자

기사등록 : 2016-03-08 13:2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이인찬 SKB 사장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 청사진 제시

[뉴스핌=심지혜 기자] SK브로드밴드가 CJ헬로비전과의 합병 이후 콘텐츠 생테계 활성화를 위해 1년간 32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이 중 2200억원은 콘텐츠에, 1000억원은 스타트업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판 '하우스 오브 카드'와 같은 성공 스토리를 만드는 것은 물론 떠오르는 1인 창작자(MCN) 콘텐츠와 가상현실(VR)에 이용되는 뉴미디어 콘텐츠에도 적극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이인찬 SK브로드밴드 사장은 8일 간담회를 열고 CJ헬로비전과의 합병법인을 통해 1년 동안 1500억원을 출자하고 1700억원은 투자를 유치하는 등 총 3200억원 규모를 콘텐츠 산업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합병법인은 조성된 펀드를 토대로 전편을 VOD 오리지널로 사전 제작해 유료 플랫폼에서 동시 개봉하는 새로운 시도를 할 것이며, 콘텐츠 장르를 다큐멘터리, 교육, 애니메이션 등으로 확대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MCN 및 VR 콘텐츠 같은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도 지원할 것”이라면서 “또한 투자 금액 중 1000억원은 콘텐츠 관련 스타트업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콘텐츠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합병법인은 향후 1800억원을 재투자해 향후 5년간 총 5000억원 규모를 콘텐츠 산업 생태계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CJ헬로비전과의 합병을 전제로 하며 합병이 지연되거나 무산될 시 모든 투자 계획은 지연되거나 실현 불가능 할 수도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SK브로드밴드는 CJ헬로비전과의 합병 후 3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심지혜 기자>

다음은 이인찬 SK브로드밴드 사장과 윤석암 SK브로드밴드 미디어사업본부장과의 일문일답.

-제시한 투자 금액이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이며 콘텐츠를 얼마나 만들 수 있는가.

▲콘텐츠 펀드 들이 대부분 200억원에서 400억원 사이 정도로 조달된다. 미래부나 문체부를 중심으로 하는 모태 펀드를 보면 약 4000억원 정도의 콘텐츠 펀드가 결성되는데, 한 사업자가 1년에 3200억원 펀드를 운영한다면 굉장히 큰 규모다.
그리고 드라마 한 편 제작하는 데 4~5억원 정도가 드는데 작품 하나 당 16편이라고 하면 총 64~80억원 정도다. 즉, 드라마 45~50편 정도를 만들 수 있는 정도라고 보면 된다.

-1800억원을 재투자한다고 했는데 수익을 갖고 하겠다는 의미로 들린다.

▲이는 수익만이 아니라 원금을 회수해 재투자 하는 것까지 말한다. 원금과 수익을 합친 금액이다. 5년 동안 수익이 전혀 나지 않아도 원금을 그대로 재투자할 계획이다.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투자가 반드시 CJ헬로비전을 인수합병 해야만 가능한 것인가.

▲가입자가 100만명일 때와 300만, 700만명일 때가 다르다. 규모의 경제를 기반으로 하기에 가입자에 따라 투자의 효율성은 달라진다. 우리가 투자해서 수익을 얻는 효율성은 가입자 기반이 크면 당연히 시장이 커져 효율이 좋을 수 밖에 없다. 또한 플랫폼의 콘텐츠 투자는 가입자들에게 차별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 합병을 계기로 가입자 기반을 확보, 고객들의 취향 분포가 다양해지면, 우리도 투자를 하게 된다. 선순환 구조가 구축되는 것이다.

-합병이 지연되거나 무산 되면 이번 발표한 콘텐츠 투자 계획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합병을 전제로 한 계획이다. 투자 계획이 상당히 지연되거나 축소될 것이다.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1000억원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 고용창출 효과는 얼마나 일어날 것으로 보이나.

▲벤처캐피탈 펀드가 대부분 ICT 영역에 있다. 우리도 ICT를 포괄하지만 최근 화두인 빅데이터나 VR 등 콘텐츠 사업에 투자하겠다. 고용창출 효과는 콘텐츠 펀드가 조성되고 구체적으로 투자 내역에 대한 정책이 나와야 계산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펀드가 지상파나 종편 등 대형 제작사에 집중될 것 같은데.

▲콘텐츠 투자를 위해 고민한 투자처들이다. 제작 능력과 경험을 가진 지상파, 종편 등과의 역량을 같이 하는 것이 대부분이겠지만 그럼에도 방송 콘텐츠의 다양성을 위해 중소 제작사들과도 함께 하겠다. 초기에는 제작 역량이 많은 곳으로 투자가 먼저 이뤄지긴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새로운 형식과 유통체계에 맞는 제작을 지원할 것이기 때문에 골고루 돌아갈 것이다.

-합병으로 유료방송시장이 거대화 되면서 무료보편적 시장인 지상파 시장이 황폐화 될 수도 있다. 어떻게 보는가. 또한 지상파와 함께 하겠다고 했지만 현재 지상파와 재송신료 분쟁 등이 있는데 해결 방안은 있는가.

▲유료방송이 거대화 된다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 합병 된다 해도 시장점유율 28~29% 정도다. 지금 현재 방송산업 생태계와 경쟁 구도로는 사실 진보하기 어렵다고 본다. 합병이 되면 1위 사업자에 대한 경쟁 압력을 주게 돼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 질 것이다.
지상파와는 한창 협의 중에 있다. 시청자에 대한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제값 수준 등에 대해 실무진들이 협의하고 있다. 곧 합리적인 수준으로 타결 될 것으로 본다.

-VOD 오리지널 콘텐츠 저작권은 누구에게 가는가. 타사 플랫폼 가입자들도 콘텐츠 볼 수 있는가.

▲저작권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있다. VOD는 투자 수익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유통될 것이다. 우리는 투자이기 떄문에 콘텐츠를 독점하려면 아주 많은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하지만 플랫폼 차별화와, 우리 고객들의 취향에 맞다고 생각되는 것은 독점화 하겠다.

-VOD 수익 시장이 기존과 어떻게 달라질 것으로 보는가. 또한 VOD 활성화로 인해 높은 지상파 의존도를 떨어뜨릴 계획인가.

▲현재 우리 정도의 플랫폼 크기로는 수익이 쉽지 않다. 이에 아시아의 여러 플랫폼 사업자들과 협의해 사전 기획, 공동 유통 등을 제안하고 있다. 시장 크기를 키워야 효율이 나온다. 그리고 지상파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제작, 유통방식을 실험하고자 하는 것이다.

-VR 콘텐츠 생태계 아직 부족하다. 언제쯤 서비스 가능할 것으로 보는가.

▲VR은 이제 나왔다. 기기도 환경도 제한적이다. 다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주고 있으며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조만간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옥수수에 전용관 만들어질 예정이다. VR에 대해서는 계속 고민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