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신흥국 통화, 바닥 통과? "아직, 위안화"

기사등록 : 2016-03-08 15:3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위안화 약세 전망 부담…저유가+경제활력 부족

[뉴스핌=김성수 기자] 최근 신흥시장 통화 가치가 지난해 12월 후 최고치로 반등하면서 바닥을 쳤다는 기대가 솔솔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독립리서치 기관 롬바르드 스트리트 리서치는 "진짜 바닥은 아직"이라며 시장의 기대를 일축했다.

지난 7일 자 배런스 지는 롬바르드 스트리트 리서치의 콘스탄티노스 베네티스가 신흥시장 통화가 위안화에 극도로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데 위안화 전망이 약세 쪽에 치우쳐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고 소개했다.

중국 위안화 <출처=블룸버그통신>

◆ 위안화 약세 전망…중국 자금유출 우려도

중국 위안화 가치는 신흥국 자산가격 향방을 결정짓는 주요한 변수로 꼽힌다. 최근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빠르게 줄어들고 중국 경기와 위안화 환율에 대한 불안도 커지는 것은 신흥국 자산에는 좋지 않은 소식이다.

앞서 인민은행(PBoC)은 작년 12월에 큰 폭의 위안화 평가절하를 감행했으며, 이는 자본 유출이라는 방아쇠를 당기면서 위안화를 비롯한 신흥국 통화에 악재로 작용했다. 신흥국 통화가 지난해 20% 가까이 평가절하된 것은 이러한 맥락이다.

인민은행은 위안화가 추가 약세를 보일 이유가 없으며, 자금 유출에 대응할 충분한 실탄이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다만 전날 인민은행에 따르면 중국 외환보유액은 4개월째 감소세에 접어들면서 4년 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 사이에는 중국 내 자금이탈이 지속되고 있다는 의구심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 저유가 여파…신흥국 경제 활력 부족

저유가와 신흥국 통화 약세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인식는 것도 신흥국 통화 가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베네티스는 설명했다.

최근 국제유가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요와 공급인데, 시장에서는 '저유가=신흥시장 악재'라는 등식에 익숙해져 있다는 설명이다.

베네티스는 이처럼 저유가와 신흥국 통화 간에 생겨난 강력한 연결고리는 글로벌 경기가 강하게 반등할 때까지 끊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밖에 신흥국 경제에 활력이 부족한 것도 향후 통화가치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우선 중국은 경기가 본격적인 회복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안정되고 있으나, 아직 경기 확장 국면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 신흥국에서도 유동성과 신용 상황이 악화되는 추세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서서히 신흥시장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실제 신흥국에서는 성장세나 순익 등 자금 흐름이 둔화되면서 주식과 채권시장의 유동성이 나빠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 모두 같은 상황은 아냐

한편, 베네티스는 "모든 신흥국이 다 똑같은 상황인 것은 아니다"며 "멕시코와 인도는 자금 상황이 이전부터 개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4일 로이터통신은 신흥시장 통화와 현지채권이 3년 연속 마이너스 투자수익률을 기록한 지금 일부 전략가들은 '전환점'이 도래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는 주로 미국 달러화의 약세로 전환 예상에 기댄 것으로 연초 신흥시장 통화의 강세가 전환점이 아니라 '가짜 새벽(false dawn; 헛된 기대를 일컫는 말)'일 수도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신흥시장 실질실효환율 10년 평균 대비 <자료=톰슨로이터, JP모간>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