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헬로 스타트업] 유료앱 1위 백패커 "수공예 시장 접수하겠다"

기사등록 : 2016-03-10 19:3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김동환 대표, 고객 재방문율 57% 달해..문화를 사고파는 온라인 마켓 지향

[뉴스핌=이수경 기자] 5년 차 스타트업 백패커. '배낭 메고 여행하며 일하자'는 모토를 내세우며 2년 간 앱스토어 1위 앱을 40개나 만들었다. '2013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유료앱을 판매한 1위 개발사' 타이틀을 수성한 백패커는 수제품 온라인 프리마켓인 '아이디어스(IDus)'를 서비스 중이다. 

지난 7일 뉴스핌과 만난 김동환 대표는 "백패커(배낭여행족)의 정신을 승계해 재미있게 일하고 있다"며 "완전 온라인화되지 않은 영역이자 국내 10조5000억원 규모의 수공예 온라인 마켓에 도전하고 있다"고 입을 뗐다. 

백패커는 모바일 앱을 '많이' 만든 경험을 토대로 지난 2014년 '아이디어스'를 출시했다. 수제품 게시부터 판매, 그리고 결제와 배송까지 모두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올인원 서비스다. 같은 해 다음카카오청년창업투자조합 등으로부터 5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김동환 백패커 대표 <사진=백패커>

 졸업자 10% 전업行..수제품 팔곳・살곳 없다 

김 대표가 수제품 오픈마켓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도예과 출신의 사촌동생 때문이다. 6수 끝에 4년제를 졸업했지만 전업작가의 현실은 냉정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설문조사를 보면 더욱 참혹하다. 연 수입 평균은 1255만원. 특히 공예, 미술 분야 종사자들의 연 수입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보통 전업작가들은 가판을 깔아 작품을 팔죠. 공방이요? 홍대 권리금 저렴한 게 1억원이고 여기에 월세, 보증금, 인건비를 합치면 자본 없이 뛰어들기도 힘들죠. 목이 좋지 못한 곳이면 수익을 기대하기도 어려워요." 

최저가 경쟁을 펼치는 온라인 진출도 어렵다. 중국산 저가 제품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 '납이 없는 인체무해 도자기'라도 사람들은 5000원짜리 '저렴이'를 구매한다. 좋은 제품만 만들어서는 생계유지조차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현실적인 이유로 매년 2만명의 공예 졸업자 중 10%만 전업작가의 길에 들어선다. 

"우리나라 공예 역사는 길죠. 도자기, 의상, 주얼리 등 관련 전공도 많죠. 하지만 졸업즈음 먹고살 길이 막막하니 일반 사무직으로 많이 취업합니다. 취업률이 낮다는 이유로 학과 통폐합도 많죠." 

소비자들도 수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정규화된 마켓이 없어서 답답한 건 매한가지다. 점차 오프라인 프리마켓이 늘고는 있지만, 온라인 전용 마켓은 거의 전무후무한 상태다. 

김 대표가 수공예품 판매자가 구매자 모두 이를 손쉽게 매매할 수 있는 루트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한 이유다. 

                                                         <사진=백패커>

 수제품 판매 마켓 "해외선 이미 인기 시장" 

김동환 대표에 따르면 이태원, 삼청동, 명동 등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수공예 판매 프리마켓이 대중화되고 있다. 오프라인 수공예 매출이나 생활 공예 시장이 각각 1125억원과 2조5000억원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점점 커지는 추세다. '아이디어스'는 이 프리마켓을 온라인으로 옮겨왔다는 설명이다. 

30대 이상 여성이 주 고객이다. 학업 중인 10대~20대는 가격에 민감해한다. 이들은 굳이 '4만원'짜리 필통을 구매하지 않는다. 반면, 경제력을 갖추고 사회활동이 활발한 30대는 점차 '명예'를 중시하게 된다. 아이디어스가 이들을 겨냥하는 이유다. 

"요즘 세대는 똑같은 용도라도 남들과는 다른, 개성이 강한 제품을 찾습니다. 90년대에는 저렴한 모나미 볼펜이 잘 팔렸죠. 2000년대 디자인 문구 열풍이 불면서 2, 3만원대 고급 볼펜을 찾는 트렌드가 형성됐고요. 그 다음 시장은 바로 수제용품이라고 생각했죠." 

해외에서 이미 검증받은 비즈니스 모델이다. 미국에는 엣시(Etsy), 일본의 미네(Minne), 독일 다완다(dawanda), 영국 러브크래프츠(Lovecrafts)가 대표적이다. 러브크래프츠는 지난해 23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유치에 성공하는 등 해외에서는 수제품 온라인 마켓 시장이 자리잡은 지 오래다. 전세계 수제품 시장 규모는 117조4천억원에 이른다. 

                            아늑한 분위기의 홍대 부근의 백패커 사무실. <사진=백패커>

 재구매율 57%.."문화를 사고팔 플랫폼 만들 " 

지난 2월을 기준으로 월 거래액은 9억원 규모다. 아이디어스 고객 두 명 중 한 명은 다시 방문한다. 19%였던 재구매율도 껑충 올라 57%에 이른다. 김 대표는 "다른 마켓에서는 살 수 없다는 메리트가 제품 경쟁력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사람이 직접 만드는 제품인 만큼 환불이나 교환 문제가 잦지 않을지 내심 걱정스러웠다. 김 대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일축했다. 

"오픈마켓에는 제품을 가져다 판매하는 사업자가 있죠. 그렇다 보니 제품에 하자에 대해선 크게 신경쓰지 않아요. 아이디어스에는 자신의 브랜드를 내세우는 작가가 있죠. 문제가 발생하면 대부분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합니다." 

아이디어스는 작가들로부터 월 5만5000원 외에 별도의 중개 수수료는 받지 않는다. 수수료 25%의 과금 모델 옵션도 있다. 작가들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김 대표에 따르면, 월매출 8000만원이 넘거나 부업으로 작품을 판매하다가 전업으로 돌아선 작가도 늘어나는 추세다. 

자본력을 가진 대기업의 이 시장 진출 우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다. 김 대표는 "초기 대응만 잘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람이 손으로 만드는 제품 특성상 작가들이 생산할 수 있는 제품 수가 한정될 수밖어 판매처를 무조건 많이 늘릴 수 없다는 이유다. 

"해외를 보면 1위 사업자만 살아남더군요. 주문량이 아무리 많더라고 작가가 한정된 시간 내에 이들 물량을 처리하는 건 어렵죠. 하루 생산량이 정해져 있다면 작가는 처음 선택한 마켓에 남을 가능성이 커요. 아직 초기 시장임에도 백패커가 여기에 뛰어든 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승자독식이 될거라고 예상했기 때문이죠." 

웹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준비되고 있다. 인력을 보충하면 다음 달부터는 아웃바운딩 영업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아이디어스가 매력적인 건 작가와 소비자가 소통하고, 수제품을 사고팔 수 있는 올인원을 지향했기 때문이죠. 작가들은 팔로워 7000명만 잘 관리해도 먹고사는 데 큰 지장이 없어요. 저희는 작가들이 작품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상품 판매 절차를 간소화하고, 구매자들은 예술을 사는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뉴스핌 Newspim] 이수경 기자 (sophi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