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무협, "중국 모바일 게임 성장세..해외진출 지원해야"

기사등록 : 2016-03-21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맞춤형 게임제품 개발과 현지파트너 통한 유통 필요

[뉴스핌=김신정 기자] 중국 모바일인터넷 사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게임 산업이 향후 중국 게임산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우리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중국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현지파트너를 통한 게임 유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 상해지부가 발표한 '중국 게임산업 현황 및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게임산업 매출액은 1407억 위안(약 25조298억원)으로 전년대비 22.9% 증가했다. 이 중 모바일게임 매출액은 514.6억 위안(약 9조2530억원)으로 전년대비 87.2% 늘었다.

모바일게임이 전체 게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2010년 2.7%에서 지난해 36.6%로 높아져 향후 중국 게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중국 게임 개발업체의 증가에 따른 경쟁심화와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따라 자국산 게임의 비율도 지난 2010년 58%에서 지난해 70.1%로 높아져 게임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무역협회>

중국산 게임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해외수출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 동남아시장 뿐만 아니라 유럽시장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어 2015년에는 전년대비 72.4%나 증가한 53.1억 달러어치를 수출했다.

보고서는 중국 게임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무협(武俠), 역사 등 중국 게임이용자에게 문화적으로 친숙한 소재나 중국 게임이용자의 이용습관을 고려한 맞춤형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최근 강화된 중국정부의 인터넷출판서비스 관리규정에 의해 외국계 기업의 중국시장 독자진출이 사실상 불가능해짐에 따라 현지파트너를 통한 게임유통을 권장했다.

이와 함께 우리 국내 게임시장의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고 모바일게임 개발업체들이 대부분 영세 중소기업임을 감안, 글로벌 게임산업에 대한 정부의 예산지원을 늘려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욱태 무협 상해지부장은 "최근 중국인의 스마트폰 보유가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게임시장도 모바일 중심으로 재편 중"이라며 "중국 현지파트너를 통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규제를 회피하고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신정 기자 (az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