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동전수명은 2020년까지 시한부…종이돈도 장수 어렵다

기사등록 : 2016-05-25 13:4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현금의 종말] <2>조폐공사도 현금 수요 감소로 생존책 모색

[뉴스핌=김지유 기자]#점원 : "구매하신 콜라는 1200원입니다. 거스름돈 800원은 버스카드로 충전해 드릴까요?"
미영 : "아니요. 직접 통장 계좌로 받는 게 좋겠어요."
점원 : "아니면, 단골인데 마트의 마일리지로 적립하는 건 어떠세요?"
미영 : "생각해 보니까, 통신사 포인트로 받는 게 더 좋겠습니다."

주머니 속 '짤랑'거리던 동전소리가 사라지고 있다. 앞으로 편의점·마트 등에서 물품을 구매하고 받은 소액의 거스름돈을 동전 대신 선불식 버스카드에 충전해서 쓸 수 있게 된다. 직접 은행 계좌로 받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사 포인트로 적립해 요금 결제에 사용하거나, 자주 이용하는 마트의 마일리지로 쌓는 것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24일 한국은행(한은)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2020년까지 '동전 없는 사회'를 추진하고 있다. 카드 결제는 물론 전자결제까지 상용화되며 동전이 사실상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전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이런 국가적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한은이 손을 걷어 부치고 나섰다.

먼저 한은은 7월까지 동전 없는 사회를 위한 '시범 모델'을 확정하고, 하반기부터 이를 테스트할 예정이다. 이후 2017년 시범 운영한 뒤,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동전 없는 사회를 위한 사업들을 시행할 계획이다.

 ◆잔돈 대신 교통카드 충전부터 통신사 포인트까지 적립

가장 먼저 도입할 방안으로는 잔돈을 선불식 교통카드 잔액으로 충전하거나, 계좌에 바로 송금하는 것이 꼽힌다. 시범 사업 운영에는 편의점이 가장 적절하다. 선불식 교통카드 충전을 위한 단말기가 대부분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마트나 약국·커피숍도 우선 대상이다.

김정혁 한은 전자금융팀장은 "잔돈 충전을 위해 새로 프로그램을 개발한 교통카드 충전기를 마트·약국·커피숍 등에 보급하는 식이 될 것"이라며 "다만 모바일 버스카드의 경우 별도의 앱이 필요해 내년 개발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에는 통신사 포인트에 잔돈을 적립해 요금결제에 사용하거나, 잔돈을 직접 요금에서 차감시켜 주는 방안이 유력하다. 자주 이용하는 유통사·마트의 마일리지로 적립해 직접 물품구매에 사용하는 방식도 도입을 고려 중이다. 

한은은 이를 통해 동전 발행비용을 대폭 줄일 것으로 기대한다. 한은은 매년 약 6억개의 동전을 새로 발행하고 있다. 지난해 동전 발행액에만 총 1032억원이 들었다.

이렇게 동전 발행 비용은 큰 데 비해 유통이 원활하지 못해 환수율은 10%대 수준이다. 김 팀장은 "동전 없는 사회를 추진하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동전 발행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동전의 유통을 원활하게 해 환수율을 높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만원 지폐도 전년동기 2조여원 감소

지폐도 향후 미래를 장담하기 어렵다. 갈수록 수요가 줄어들어서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만원권의 발행액(14조3885억원)은 전년보다 2조원 넘게 감소했다. 같은 기간 5000원권(4124억원)과 1000원권(4539억원)도 각각 200억원이 넘게 감소했다. 5만원권만 발행액이 20조5702억원으로 전년보다 5조원 넘게 증가했지만, 환수율은 40.1%로 다른 지폐(5000원권 86.1%, 1000원권 87.4% 등)보다 낮은 수준이어서 금고 속에 잠자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팀장은 "현금 없는 사회는 우리나라가 이제 막 검토단계"라면서도 "유럽처럼 정부에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전자결제의 자연스러운 소비문화 흐름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바일 등 전자결제를 다수가)편하게 사용하고 (보안면에서)안전하다는 생각이 들면 현금 발행이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폐공사, 사업다각화 통한 생존전략 모색

동전과 지폐 사용이 감소하면서 조폐공사의 매출액이 급감하고 있다. 지폐와 주화의 매출액은 2011년 1835억원에서 2015년 1440억원으로 감소했다.

조페공사 관계자는 "조폐공사의 근간이 되는 화폐사업량이 줄어드는 시대적 변화를 막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미래 공공영역 사업에 대한 역할을 재정립하고 관련 법에 대한 재정비 등을 준비하고 있으며, 미래 있을 수도 있는 갑작스런 경영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인력 구조 기반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