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제각각' 대우조선 여신 기준…금감원 혼란 부채질?

기사등록 : 2016-06-03 18:5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감독당국의 충당금 압박... 은행마다 다른 건전성 분류

[뉴스핌=김지유 기자] 은행들의 대우조선해양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분류가 제각각으로 나뉘며 투자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감독당국이 시중은행장들을 만나 충당금을 쌓으라는 액션을 보이며 혼란을 유발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NH농협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여신을 지금처럼 정상으로 나둘 방침이다. 반면 이들보다 익스포져 규모가 현저히 적은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대우조선에 제공한 여신을 '정상'에서 한 단계 위험한 '요주의'로 낮췄다. 

대우조선에 대한 산업은행의 위험노출액(익스포져)은 6조3000억원(작년말 기준, RG 잔액 포함), 농협은 1조4000억원(4월말 기준) 규모이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6300억원, 2800억원 수준이다.

국민은행은 지난 3월말 대우조선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등급을 요주의로 분류한 뒤 1000억원대의 충당금을 쌓았다. 신한은행도 최근 등 200억~300억원 가량의 충당금을 쌓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수출입은행 "정상에서 낮춰야 할 이유 없다"

대우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자 연체도 없고, 회계제도나 회사채 신용등급 등에서 볼 때 정상이기 때문에 낮춰야 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액수가 워낙 큰 만큼 섣불리 요주의로 낯췄다가 관련 업계에 미칠 파급력도 감안해야 한다. 작년말 지원키로 했던 유상증자 '실탄'에 대한 기대도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작년에 (대우조선에 대한)리스크가 있다는 걸 감안하고 증자 등 조치를 통해 지원하기로 했는데 아직 다 이행되지 않아 일시적으로 부채비율이 올라가 있는 것"이라며 "이런 조치가 다 되고 나면 지금보다 훨씬 좋은 모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입은행도 산업은행과 비슷한 입장이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대우조선은 (이자)연체도 없고 금융감독 체계나 회계제도상으로만 보면 정상"이라고 강조했다.

◆농협은 지역경제 파장 고민

농협은 주채권은행이 정상으로 분류하고 있고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여신의 90% 이상이 선수금환급보증(RG)이기 때문에 배만 잘 인도되면 크게 문제 없다고 주장한다.

농협 관계자는 "대우조선은 주채권은행이 지원 의사를 밝히고 있는 업체이고, 동남권 지역에 큰 비중을 갖고 있는 업체라는 점을 감안하면 쉽게 낮추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농협은 대우조선에 대한 RG 한도를 낮춘다는 계획이다. 구체적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 농협 관계자는 "큰 방향으로 RG 한도를 점진적으로 낮춘다는 것은 맞지만 구체적인 것은 채권단 협의 등을 통해 답을 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감원 "각 은행들이 판단할 문제"…은행들은 은근한 액션에 눈치

이런 가운데 감독당국이 '자산건전성 분류는 각 은행들이 판단할 문제'라면서도 충당금을 쌓으라고 액션을 취하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12일 이경섭 NH농협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과 만나는 등 부실기업에 대한 충당금 확대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 바 있다. 

자산건전성 분류는 금융감독원 지침에 따라 각 채권은행이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으로 나눈다. 정상·요주의는 정상여신으로 취급되고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은 부실채권으로 구분된다.

보통 연체가 없거나 1개월 미만 여신의 경우 '정상', 1~3개월 범위 연체시 '요주의', 3개월 이상 연체 및 부도기업 '고정이하여신' 등으로 구분한다. 대우조선이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에 이자를 연체한 적은 없다.

신한은행 리스크총괄부 관계자는 "현재로서 큰 이슈가 있는 것은 아니고, 알려진 대로 수주가 어려운 점 등을 실질적으로 반영했다"며 "정상으로 분류하다가 나중에 정말 이슈가 됐을 때 확 쌓거나 손실을 인식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업체의 상황에 따라서 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공식적으로는 여신 자산건전성 분류의 경우 각 은행들이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선을 긋는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산건전성 분류는 은행이 자율적으로 하는 것일 뿐 감독당국이 관여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자산건전성 분류는 그 회사의 신용리스크에 대한 기본 프로세스 중 하나로써 은행 내부경영상황 및 은행들의 영업력 등 여러 가지가 복합돼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