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이홍규 기자] 미국 기업들의 부채 규모가 '금융 위기' 수준을 훌쩍 넘어섰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지속될 경우 기업 도산 위험은 물론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주가가 조정 받는 건 시간 문제라는 경고도 제기된다.
하지만, 사상 최고 수준으로 오른 부채도 기업의 상환 능력에 비춰보면 전혀 문제될 게 없다는 반박도 나온다.
지난 4일자 미국 주간 금융전문지 배런스(Barron's)는 "과학자들이 모든 콜레스테롤이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몇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면서 "이제는 기업 부채에 대해서도 똑같이 느낄 차례"라고 주장했다.
◆ 미국 회사채 발행 규모 '금융위기' 수준 넘어
<사진=블룸버그통신> |
관련 통계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의 부채는 전례 없던 수준까지 이르렀다. 지난 2015년 기업 규모 기준 미국 상위 1500개 기업(금융 기관 제외)의 신규 채권 발행 금액은 5000억달러를 웃돌아 2008년 금융 위기 직전 기록한 3500억달러를 훌쩍 뛰어넘었다.
규모로만 놓고 보면 기업들에 대한 재무 건전성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기업들의 상환 능력과 채무를 구성하고 있는 기업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채무 상환 부담이 높아질 조짐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투자은행 모간스탠리가 제시한 통계에 의하면 지난 4분기 미국 대표 주가지수인 S&P500지수 구성 기업들의 이자보상배율은 9.4배를 기록해 장기 평균인 6.5배를 크게 넘어섰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영업이익)을 지급이자 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이 숫자가 1보다 크다는 건 영업활동으로 번 돈이 금융비용을 지불하고 남는다는 의미다. 보상배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여유자금은 많다는 얘기다.
또 기업들이 부담하는 이자 비용도 사상 최저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런스는 "기업들의 이자 비용이 전체 부채에 3.9%에 불과하다"면서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울트라 초저금리 정책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지고 있는 부채가 대부분 장기 부채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미국의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도이체방크의 데이비드 비앙코 전략가는 "S&P500 구성 기업들이 지고 있는 전체 부채의 90%가 상환 기간이 7년 이상"이라면서 "기업 현금 보유액이 단기 부채의 3배나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준이 금리를 1%포인트 인상하더라도 전체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주당 50센트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 발행액 80%가 대기업 44곳에 집중
<사진=블룸버그통신> |
무엇보다 미국 기업의 채무가 현금이 풍부한 대기업에 집중돼 있다는 점 역시 레버리지 문제가 위협 요인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채권 발행의 80%는 대기업 44곳이 차지했으며 여기엔 대부분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AT&T, 제네럴모터스 등 현금이 풍부한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모간스탠리의 아담 파커 전략가는 "기업들의 채권 발행 데이터는 시장 수익률 예측하는 데 전혀 문제될 게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사상 최고 수준으로 불어난 채무가 미국 상장기업 주가 향방을 예측하는 데 문제될 게 없다고 입을 모으는 한편, 개별 기업들의 채무 상환 능력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개별 기업의 주가 수익률을 좌우하는 건 부채 비율이 아닌 채무 상환 능력이라는 조언도 함께 나온다.
배런스는 부채 비율이 낮은 기업이 높은 기업의 주가 상승률을 웃도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면서, 또한 채무에 대한 현금 흐름 비율이 높은 기업들의 주가 상승률은 낮은 기업들보다 5%포인트 높다고 분석했다.
맥도날드. UPS, 홈디포는 상환 능력에서 전혀 문제될 게 없다는 지적이다. 일례로 맥도날드의 부채는 자본의 6배에 달하지만, 보상배율은 10.5배에 이른다.
반면 트랜스오션,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마라톤오일, 오피스디포 등은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가 제출됐다. 트랜스오션의 자기자본대비 순 부채비율은 38%로 낮은 부채 비율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자보상배율은 4.1배 수준이다.
[뉴스핌 Newspim] 이홍규 기자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