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뉴욕전망] 2Q 어닝-연준 고용지표 평가 '주목'

기사등록 : 2016-07-11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알코아 필두로 금융업체 실적 발표 연이어
6월 고용 호조 통화정책 영향 파악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6월 고용 지표 호조에 지난주 심리적 저항선을 뚫고 오른 뉴욕증시가 2분기 기업 실적 테스트를 눈 앞에 두고 있다.

11일 알코아를 필두로 한 2분기 이익과 하반기 전망, 여기에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결정에 따른 파장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뉴욕증권거래소 <출처=블룸버그>

시장 전망치를 훌쩍 뛰어넘은 고용 지표를 호재로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28만7000건에 달한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에 국채 수익률과 금값의 반응이 미지근했던 것은 여전히 ‘리스크-오프’ 심리가 우세하다는 의미라는 얘기다.

이 밖에 고용 지표에 대한 연방준비제도(Fed) 정책자들의 반응 역시 주식시장의 등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9일(현지시각) 업계에 따르면 2분기 어닝시즌 첫 주 실적 발표는 금융주에 집중됐다. 알코아 이후 JP모간과 씨티그룹, 웰스 파고, 블랙록의 성적표 발표가 기다리고 있다.

이번에도 실제 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과거보다 향후 전망에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의 EU 탈퇴 결정에 따른 수출 기업의 매출 영향이 특히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미 씨티그룹은 미국 간판 기업인 애플의 아이폰 판매가 브렉시트로 인해 둔화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이익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상황이다.

마이클 애런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 전략가는 CNBC와 인터뷰에서 “브렉시트와 고용 지표에 이어 주가를 직접적으로 움직일 다음 재료는 기업 실적”이라며 “연준 통화정책을 둘러싼 전망과 브렉시트 충격에 대한 우려가 증시 저변에 자리잡고 있지만 단기 주가는 기업 이익에 따라 출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블룸버그통신>

그는 2분기 실적보다 하반기 전망의 주가 영향력이 이전 어닝시즌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S&P500 지수 편입 기업의 2분기 이익이 4.8% 감소해 5분기 연속 후퇴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3분기 역시 반전을 이루지 못할 것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 4분기에 가서야 이익 증가세가 기대된다

브렉시트 결정에 따라 영국의 소비자신뢰지수가 급락하는 등 이미 파장이 가시화되기 시작한 데 따라 수출 기업들이 특히 하반기 난관을 만날 것이라는 얘기다.

연이어 예정된 연준 정책자들의 연설도 눈 여겨 볼 변수로 꼽힌다. 무엇보다 6월 고용 지표 호조가 통화정책 기조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여부가 관건이다.

지난 8일 지표 발표 후 투자자들은 연준이 고용 급증을 근거로 금리인상을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데 무게를 뒀다.

6월 수치가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자신감을 높인 한편 연내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데 따르는 부담을 덜어 준 셈이지만 정책자들을 재촉할 만큼 강력한 재료는 아니라는 진단이다.

먼저 4월과 5월 일자리 수치가 각각 하향수정된 덕분에 2분기의 3개월 동안 추세는 불과 월평균 14만7000개 정도에 그쳤다. 이는 3월부터 5월까지 월 평균 일자리수 11만4000개를 빼고 2014년 2월 분기 이후 최저수준. 또 민간부문 일자리수 증가속도는 월 평균 13만5000개로 석달 증가폭은 3~5월 기록한 10만3000개를 제외한다면 2012년 7월 이후 최저치였다.

 

투자자들은 내주 연준 정책자들의 발언을 통해 이와 관련한 보다 명료한 입장을 확인하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 주말부터 이어진 중국의 경제 지표도 증시에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변수다. 무역수지와 성장률, 소매판매 등 중국 경제 펀더멘털을 평가할 수 있는 굵직한 지표가 연이어 공개될 예정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 지표가 시장 예상치에 못 미칠 때 주가 충격이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최근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동시에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최저 수준으로 밀린 상황을 놓고 투자자들 사이에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투자 심리와 경기 판단 측면에서 균형이 깨졌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주식시장과 국채시장 가운데 어느 쪽의 경기 판단이 정확한 것인지 결국 가려질 것이라는 얘기다.

이와 달리 국내외 유동성 흐름에 따른 현상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콜린 시진스키 CMC 마켓 전략가는 마켓워치와 인터뷰에서 “미국 국채 수익률은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려는 해외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입으로 인해 바닥권으로 떨어진 것”이라며 주식과 국채 움직임의 엇박자를 설명했다.

에버코어 ISI의 데니스 드뷔셔 글로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국채금리가 저공행진을 지속한 것은 미국 경기가 좋지 않다는 판단보다는 자본유입과 중앙은행의 정책 때문"이라며 "다른 선진국 국채 금리가 워낙 낮다보니 미국 정도의 국채 금리가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