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철강‧석유화학, “정부 구조조정안, 탄력적 대응 필요”

기사등록 : 2016-09-30 15:4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정부案 그대로 이행 시 중국기업에 안방 내줘…그간 나온 이야기 '반복'
철강‧석화업계 “혁신적인 내용 없어 아쉽다”

[뉴스핌 = 전민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30일 오후 내놓은 철강‧석유화학산업에 대한 선제 구조조정 방안을 내놓은 가운데, 관련업계는 따를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업계의 현실, 그리고 지금까지 추진해 온 자발적 체질개선을 배려하지 않은 채 생산 감축‧인수합병(M&A)을 제시해, 이를 그대로 따를 경우 해외 철강‧석유화학기업에 국내 시장을 그대로 내어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철강 생산공장<사진=현대제철>

관련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날 발표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5대 핵심 전략' 가운데, 철강업계는 후판과 관련된 내용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1495만t에 달하는 현 생산능력을 2020년까지 업계 자율적으로 조정하라는 것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이 늘면서 생산부하가 확대되고 있다"며 "아직도 많은 양의 수입재가 유입되고 있는 현실을 외면한 채 단순히 숫자 맞추기로 구조조정을 논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특히 중국발 공급과잉에 대한 해결방안 없이 단순히 생산규모를 줄이라는 주장만 담았다며 반발하면서 설비 감축으로 생산이 줄어든 틈으로 중국산 철강재가 침투해 안방시장을 고스란히 내주는 결과만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부실기업의 우량자산을 인수하라는 내용의 강관 경쟁력 강화 방안도 철강업계에서는 주목하고 있다.

이를 이행하는 기업을 정부에서는 기활법 등으로 지원사격 한다는 이야기인데, 이와 관련 철강업계 관계자는 "지금 있는 설비도 제대로 돌리지 못 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인수는 무리"라며 "대기업들은 이미 중소 업체들이 보유한 설비를 갖춘 만큼 추가적으로 늘릴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단 철강업계에서는 중소 강관사 간 인수합병은 보다 활발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덩치를 키워야 하는 중소 강관사는 신규 투자보다 상대적으로 투자비 부담이 적은 중고 설비 인수가 더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실제 이번 정부 구조조정안이 발표된 이후 중소 강관사인 금강공업은 부실기업 아주베스틸 인수합병 작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철강업계 관계자는 "현재 검토 중인 사항이다"며 "아주베스틸이 보유한 파이프 도금설비나 중구경 생산라인의 메리트가 크다"고 전했다.

석유화학업계는 인위적인 사업 개편 방안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사업 부문을 사고파는 인위적인 사업 재편은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자급률 증가로 TPA 품목이 어렵다는 것은 굳이 외부 컨설팅을 받지 않더라도 업계 누구나 공감하고 있다"며 "여기서 더 줄이라는 것은 사업을 중단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다"고 말했다.

또한 폴리스티렌(PS)은 이미 주요기업들이 가동률을 20% 이하로 축소시켜 놓았고, 합성고무나 폴리염화비닐도 현재 고부가가화가 한창 진행 중이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방안을 제시했는데 업계의 문제를 제3자가 다시 확인시켜 주는 일 밖에 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전민준 기자(minjun8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