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심지혜 기자] 국내 이동통신 시장 경쟁관계인 KT와 LG유플러스가 사물인터넷(IoT) 시장 선점을 위해 연합전선을 구축했다. 반대편 SK텔레콤이 지난 6월 독자적으로 IoT 전용 전국망 로라(RoLa)를 구축하고 시장을 선점해 가는 시점에서다.
KT와 LG유플러스는 NB-IoT(협대역사물인터넷)를 상용화 해 SK텔레콤의 로라와 맞선다.
김준근 KT 기가 IoT 사업단장(왼쪽)과 안성준 LG유플러스 IoT 사업부문장. <사진=심지혜 기자> |
3일 LG유플러스와 KT는 광화문 KT사옥에서 간담회를 열고 양사간 적극적인 사업협력을 통해 내년 1분기에 NB-IoT 상용화를 공동 추진한다고 밝혔다.
양 사는 이통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다. 하지만 이번 IoT 산업에는 경쟁이 아닌 협력을 택했다.
김준근 KT GiGA IoT사업단장은 "IoT는 아직 태동기에 있는 산업으로 많은 회사들이 손을 잡는 것이 필요하다"며 "산업 활성화를 위해 경생사 관계지만 손을 잡게 됐다"고 설명했다.
양 사가 협력하기로 한 NB-IoT(NarrowBand-Internet of Things)는 비면허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로라와 달리 각 사가 보유한 LTE망을 그대로 사용한다. 때문에 간섭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사물 인터넷 표준 기술로 여겨진다.
양사의 이번 협력은 ▲NB-IoT 네트워크 조기 상용화 공동추진 ▲칩셋·모듈·eSim·단말 등 IoT 핵심 제품의 공동소싱 ▲국내 주요 협단체 및 글로벌 기구 활동 공동 대응을 기본 방향으로 진행된다.
또한 이번 협력은 양사의 협력사와도 함께 진행된다. 각각 구축했던 NB-IoT 기술지원 실증 센터를 공동 개방하고 NB-IoT 해커톤 공동 개최 등을 계획하는 등 향후 IoT 생태계를 NB-IoT 중심으로 만들고 관련 시장을 빠른 시일 내에 창출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KT는 스타트업은 물론 500개가 넘는 GiGA IoT Alliance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
안성준 LG유플러스 IoT사업부문장은 “LG유플러스는 홈, 공공, 산업 분야에서 IoT를 적극적으로 구축해 네트워크부터 플랫폼까지 총괄하는 종합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며 “KT와의 사업협력을 통해 IoT 생태계 조기구축과 시장성장 가속화를 유도해 국내 NB-IoT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김준근 KT GiGA IoT사업단장은 “그간 공동의 시장 창출보다는 경쟁에 치중했던 통신시장에서 LG유플러스와의 사업협력은 그 의미가 크다”며 “ KT는 LTE-M 세계최초 상용화 등 성장성이 높은 소물인터넷 사업에 집중해왔고 이제 국내뿐 아닌 전세계적으로 무한한 성장이 예상되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LG유플러스와 지속적으로 협력 범위를 넓힐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IoT는 통신사만이 아니라 수많은 파트너들이 있다"며 "우리가 글로벌 표준으로 손을 잡는다면 이 생태계에 참여하는 스타트업, 중소기업들은 사업 참여가 용이하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사가 NB-IoT망 구축으로 가장 먼저 추진할 사업은 유틸리티(utility, 공익사업) 분야다. 이는 SK텔레콤이 먼저 나선 분야다. SK텔레콤은 지난 10월 한국LP가스판매협회중앙회 및 코리센과 로라 기반 LP가스 사용량 원격 검침 및 잔류량 체크, 사용 패턴 바탕의 안전관리 솔루션 ‘스마트미터LPG’ 적용 협약을 체결했다.
LG유플러스와 KT는 NB-IoT가 로라보다 안정적이라는 점 등을 앞세워 시장 잡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기존 가스, 수도, 전기 계량기를 NB-IoT 기반 계량기로 교체해 원격검침 및 관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부가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물인터넷 기술 특징 비교. |
◆ 'NB-IoT' 원거리 사물 통신에 유리
NB-IoT는 이동통신망의 좁은 대역을 이용해 150 kbps 이하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8km 이상의 장거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협(狹)대역 사물 인터넷 표준 기술이다. 전력 소비가 적으며 가스·수도·전기 검침, 위치 추적용 기기 등과 같이 원거리에 있는 사물 간의 통신에 효율적이다.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또 다른 IoT 기술인 ‘로라(LoRa, Long Range)’와 비슷하지만 비면허 주파수를 사용하는 로라 대비 NB-IoT는 LTE 전국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촘촘한 커버리지와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 제공에 보다 유리하다는 평가다.
비면허 주파수(Flexible Access Common Spectrum)는 와이파이(WiFi)와 같이 정해진 용도 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를 말한다. 누구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같은 대역의 다른 기술 주파수와 간섭 가능성이 있으며 별도 네트워크 구축에 따른 망 운영·관리가 필요하다.
LG유플러스와 KT는 NB-IoT가 SK텔레콤의 로라 대비 커버리지, 속도, 접속성 등에서 우위에 있다고 역설했다.
조창길 LG유플러스 네트워크 전략담당은 "실험 결과 NB-IoT가 로라 대비 6배 넓은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속도 면에서도 5~11배까지 빠르다"며 "한 네트워크 장비에 10배 많은 장치들이 접속할 수 있어 훨씬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김준근 KT 단장은 "무엇보다 NB-IoT는 3GPP 표준으로 채택돼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이를 선택하려 하고 있다"며 "국내 역시 하나의 표준에 맞춰 관련 협력업체들이 힘을 모은다면 더 저렴한 비용으로 이를 준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장점으로 2017년 4분기 NB-IoT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는 차이나 모바일을 비롯해 AT&T, T-모바일, 중국 차이나텔레콤, 보다폰 등 글로벌 대형 통신사들이 투자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며 NB-IoT 기술을 활용한 사물 인터넷 시장 진입을 예고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