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연순 기자] 15년 만에 과점주주 방식으로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이 금융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한다. '지주사 전환'은 새로운 과점주주들도 이견이 없는 만큼 향후 새 이사진이 결정할 증권사 등 인수 문제와는 별개로 우선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 본점 <사진=우리은행> |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민영화 이후 지주회사 전환을 우선 추진할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은 과점 주주 사이에서도 특별히 이견이 없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행 은행법 적용으로 사업 시너지에 한계가 있는 만큼 이종업종 간 협업이 가능한 지주회사법을 적용받는 지주사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앞선 관계자는 "은행법을 적용받으면 자회사인 우리카드, 우리종합금융과의 마케팅 정보 공유 등이 제한받지만, 지주회사로 전환되면 은행 자본 비율도 높일 수 있고 자회사와의 마케팅 제한 부분도 원활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기존 14개 자회사 중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현 DGB생명) 등 비금융 자회사 6개와 광주은행, 경남은행 등을 떼어 내면서 현재 우리카드와 우리종합금융만을 자회사로 갖고 있다.
지주사 전환 이후 증권, 자산운용, 보험사 등에 대한 인수 문제는 연말 새롭게 구성되는 이사진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은 이번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통해 7곳의 투자자에게 지분 29.7%를 매각했다. 이 중 동양생명(4.0%), 키움증권(4.0%), 한국투자증권(4.0%), 한화생명(4.0%), IMM PE6.0%) 등 5곳이 사외이사를 추천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과점주주 추천 사외이사는 내달 30일 임시주총에서 선임될 예정이다. 증권사 2곳, 보험사 2곳, 사모펀드 1곳이 새로운 이사진 멤버가 된다.
과점주주인 보험사와 증권사들은 우리은행과의 경영 협업을 노리고 투자에 참여했기 때문에 이들 투자자들의 의견이 향후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인수 등 큰 그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평소 "민영화에 성공하면 증권, 자산운용사, 보험사 등 자회사를 꾸려 지주사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며 지주사 체제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해 온 바 있다.
우리은행 사정에 정통한 은행권 관계자는 "증권, 자산운용, 보험사 인수는 돈이 들어가는 문제고 그에 대한 효과 뿐 아니라 어떤 부분을 상위 컴퍼니로 할 것인지는 새로운 이사진 내에서 논의돼야 할 문제"라면서 "정부가 과점주주 중심의 자율경영을 보장한다는 입장을 밝혀온 만큼, 새롭게 구성되는 과점주주 이사진이 (인수 여부 등을) 논의해서 방향을 설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연순 기자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