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험난한 신약 개발…한미약품 'R&D 신화' 고비

기사등록 : 2016-12-29 09:2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사노피와 계약 변경·베링거인겔하임과는 계약 해지
한미약품 "일희일비 하지 않고 신약 개발 매진"

[뉴스핌=한태희·박예슬 기자] 제약사 신약 연구개발(R&D) 신화를 쓰는 한미약품이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해외 제약사와 맺은 신약 기술 수출이 올 들어 해지되는가 하면 계약 변경으로 계약금 일부도 돌려줘야 하는 처지다. 위기에 봉착한 한미약품은 일희일비하지 않고 신약 개발에 매진한다는 계획이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11월 사노피와 맺은 지속형 당뇨신약 포트폴리오인 퀀텀프로젝트의 기술수출 계약 중 일부 지속형 인슐린 개발에 대한 권리를 반환받았다고 29일 밝혔다.

퀀텀프로젝트는 총 3가지 포트폴리오로 구성된다. 지속형 GLP-1 계열 에페글레나타이드와 주 1회 제형 지속형 인슐린. 그리고 에페글레나타이드와 인슐린 결합 주 1회 제형의 인슐린 콤보 등이다.

이 중 사노피는 주 1회 제형 지속형 인슐리 개발 건을 한미약품에 반환했다. 당뇨 치료제 시장 변화를 고려하면 1회 제형 지속형 인슐리 시장성이 낮다고 본 것.

아울러 한미약품과 사노피는 나머지 2건 연구 계약 조건도 일부 변경했다. 지속형 인슐린 콤보는 일정 기간 한미약품이 개발한 후 사노피가 인수키로 했다. 에페글레나타이드 개발 마일스톤(일종의 성과금)은 줄이고 개발 비용 일부는 한미약품이 부담한다.

이번 계약 변경으로 한미약품이 사노피로부터 받을 계약금 규모도 절반 가량 줄었다. 당초 받기로 한 계약금 4억유로(약 5000억원) 중 1억9600만유로(2500억원)를 반환해야 한다. 임상 성공 및 상용화시 받기로 한 마일스톤도 최대 35억유로(약 4조원)에서 27억2000유로(약 3조4000억원)로 줄었다.

한미약품이 흔들리기 시작한 건 지난 9월이다. 독일 베링거인겔하임은 한미약품에 항암신약 '올무티닙' 권리 반환을 통보했다. 올무티닙 기술 수출은 최대 8500억원에 달하는 계약이다. 하지만 글로벌 임상 중 부작용 발견과 경쟁사의 표적항암제 임상 결과 발표로 시장성에 의심을 받았다. 이에 베링거인겔하임은 약 1년만에 올무티닙 개발 권한을 한미약품에 반환했다.

한미약품의 악재는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얀센에 수출한 당뇨비만치료신약 'JN-64565111' 임상도 순탄치 만은 않다. 최근 들어 임상 1상 환자 모집이 일시적으로 유예된 것. 얀센은 한미약품과의 파트너십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부정적 인식이 사라진 건 아니다.

여러 악재에도 한미약품은 흔들리지 않겠다는 각오다. 변수에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는 자세다. 신약후보물질부터 개발까지 성공률은 약 0.02%.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란 신약 특수성을 감안할 때 긴 안목으로 접근하겠다는 것. 실제로 신약 개발은 금광(10%)이나 유전(5%) 개발보다 어렵다.

이관순 한미약품 대표는 "글로벌신약 개발 과정은 험난하고 때론 아픈 가슴을 쓸어내려야 하는 순간들에 직면하지만 그래도 한미약품의 결론은 '글로벌신약"이라며 "한미약품은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한 비전과 함께 전세계 1400조에 달하는 의약품 시장에서 새로운 국가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한태희 기자 (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