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반기문 주춤한 사이 안철수 역전 노려… 유승민·남경필 고전

기사등록 : 2017-01-19 12:5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반기문 '반반행보'로 귀국 컨벤션 효과 빠져
안철수, 문재인VS안철수 프레임 짜기 주력
유, 남 정책 내세우지만 흥행엔 실패

[뉴스핌=조세훈 기자] 반기문 전 유엔(UN)사무총장이 귀국 후 일주일 간 광폭행보를 이어갔지만 이도 저도 아닌 '반반 행보'라는 꼬리표가 붙었다. 입국 후 반짝 급등했던 여론조사 지지율 역시 박스권에 갇히면서 다른 ‘3지대 주자’들이 대표선수가 되기 위해 역전에 골몰하는 모양새다.

반기문 일주일 광폭행보, 준비 안된 후보 이미지만 강화돼

반 전 총장 측은 보수를 기반으로 중도층을 끌어들여 초반 대선 레이스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자 골몰했다. 반 전 총장 역시 자신을 "진보적 보수주의"라 자처하면서 한쪽 진영에 갇히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귀국 후 일주일 간 봉하마을과 팽목항, 광주 5.18 민주화 묘지를 방문하며 중도, 진보층으로 외연 넓히기 행보를 이어갔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을 참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그러면서도 반 전 총장은 16일 탄핵심판을 받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과 통화해 "부디 (탄핵심판에) 잘 대처하시길 바란다"고 덕담을 건넸다. 박 전 대통령에게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보수층을 달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그러나 반 전 총장의 광폭행보에도 초반 레이스 성적표는 초라하다.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반 전 총장은 귀국 당일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지만 곧 1위 자리를 내줬다. 한국일보가 19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반 전 총장은 20.0%를 기록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31.4%)에게 뒤졌다. 벌써부터 ‘귀국 컨벤션 효과’(전당대회 같은 정치 이벤트 후 지지율 상승효과)가 빠지고 있는 모양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반 전 총장의 문제는 '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며 "지금까지 보여준 행보는 보수도 아니고 진보도 아니고 준비가 안된 후보라는 느낌을 물씬 준다"고 말했다. 그는 "반 전 총장은 보수의 기대엔 못 미치고 중도적으로 지켜보던 국민에게 실망스러운 정도"라며 "재정비를 빨리 못하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철수, '문vs안 프레임'으로 지지율 반등 노려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당내 자강론을 등에 업고 역전의 발판을 마련코자 부심하고 있다. 안 전 대표는 18일 전북 기자간담회에서 "반 전 총장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대결하면 이기지 못한다"며 "설 지나 (대선) 출마를 포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18일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가 전북 전주한옥마을의 한 막걸리 가게에서 청년당원들과 만나 건배를 제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그러면서 정권교체가 되려면 "박근혜정부와 연관이 없고, 부패 기득권 세력을 척결하겠다는 개혁의지가 확고하고, 함께하는 사람들이 개혁적이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반 전 총장의 집권은 ‘정권연장’이라는 얘기다.

그는 "결국 대선은 안철수와 문재인의 싸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는 지지율을 반등하기 위해 문재인과 안철수 양자구도로 프레임을 짜겠다는 것이다.

바른정당 유승남, 남경필 띄우지만 흥행엔 실패

바른정당은 반 전 총장이 주춤하자 유승민, 남경필 띄우기로 맞대응하고 있다. 바른정당은 유승민 의원의 '육아유직 3년법'을 1호 법안으로, 남경필 경기지사가 제안한 '출신학교 차별금지법'을 2호 법안으로 채택했다. 두 대선 주자의 정책을 부각해 흥행몰이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바른정당 전체회의에서 유승민(오른쪽) 의원과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대화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유 의원은 25일 대선출마에 맞춰 '경제정의'와 '경제성장'을 골자로 한 대선공약을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남 지사는 특목고와 자사고 폐지 등을 담은 일명 ‘사교육 김영란법’과 2023년 모병제 도입 등 굵직한 공약을 연일 제시하고 있다. 다만, 두 후보 모두 지지율이 답보 상태에 그치고 있어 초반 흥행에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조세훈 기자 (askr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