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전선형 방글 기자] 금호타이어의 이란 수출길이 막혔다. 이란 정부의 ‘기술제휴 제안’을 거절한 뒤로 암묵적인 경제 제재를 당하고 있는 것이다.
10일 정부에 따르면 외교부는 지난달말 금호타이어 수입 제한과 관련한 한국정부 서한을 이란정부에 송부했다. 이란 정부가 지난 1월부터 금호타이어의 수입갱신 계약을 불허하자 정부가 나선 것이다.
금호타이어는 이란에 수입상(딜러)을 통해 타이어를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월부터 3개월째 수입상들이 계약갱신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타이어업계에서는 금호타이어의 계약갱신 협상 당시 이란정부가 합작을 통한 기술제휴를 제안했으나, 이를 금호타이어가 거부하면서 수입제한으로 이어졌다고 보고 있다.
현재 이란의 경우 연간 2200만개 정도 타이어가 판매되는 시장으로 ▲금호타이어 ▲한국타이어 ▲넥센타이어 등 국내 3사가 20~30%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그 중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유엔(UN)의 경제제재가 풀린 이후 판매에 가장 적극적이었다. 실제 이란은 금호타이어 중동지역 판매의 30% 수준을 차지할 만큼 규모가 꽤 큰 편이다.
금호타이어 측은 “수입상이 금호타이어 브랜드 계약을 하지 않고 있다”라며 “현재 자사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기 때문에 외교부 등 정부 쪽과 공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이란정부 제재는 금호타이어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라며 “금호는 수출전용브랜드인 마샬을 판매해 최대한 피해가 없게 조치 중에 있다”고 전했다.
실제 이란정부의 한국기업 압박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포스코의 경우 지난해 4월 이란 현지 철강기업인 PKP그룹과 연산 160만톤 규모의 일관제철소를 짓기로 합의했으나, 1년이 넘도록 진척되지 않고 있다.
SKC 또한 지난해 2월, 이란 현지기업 키미야가란과 발주의향서(LOI)를 체결한 바 있다. LOI에는 교역량 확대와 사업합작이 포함됐다. 교역량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지만 사업합작 부분에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양 사는 모두 “사업타당성을 검토 중인 상황”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란 정부 무리한 요구 때문에 진출에 눈치를 보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2월 열린 이란 국제 자동차산업회의에서 정부 고위관계자가 ‘한국기업들 진출하려면 투자를 해야한다’라고 발언한 것도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코트라) 이란사업 담당자는 "최근 이란의 한국 기업 압박은 5월 중순에 치러질 대선과 연관이 있다"며 "대선의 행방에 따라 앞으로의 한국기업 진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 이란정부가 연임될 경우 하반기에는 경제발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장담할 수 없다"며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전선형 기자 (inthera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