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최유리 기자] “집에 바퀴벌레가 나왔는데 대신 좀 잡아주세요.” “좋아하는 사람의 질투심을 유발하고 싶은데 같이 밥 먹을 이성을 보내주세요.”
‘세상의 모든 심부름’을 도맡은 ‘띵동’에는 하루에도 수백 건의 주문이 쏟아진다. 귀차니스트의 잔심부름은 물론, 황당한 요구까지 다 들어준다. 그것도 365일 24시간 언제든 부르면 나타나는 만능 해결사다. 생활 편의 서비스 시장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허니비즈의 윤문진 대표를 만났다.
◆ 즐겨 쓰던 서비스 따라 창업…뭐든지 해주는 ‘띵동’
윤문진 허니비즈 대표가 '띵동'의 모바일 앱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창업 아이디어는 그의 일상에서 나왔다. 평소 즐겨 이용하던 ‘해주세요’ 같은 서비스를 만들자는 생각이었다. '해주세요'는 강남구에 한해 맛집 배달과 생활 심부름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었다. 연 매출 50억원의 잘나가는 회사였지만 윤 대표에게는 빈틈이 보였다. 배달 시간이 들쑥날쑥하고 상담원은 불친절했다. ‘내가 하면 더 잘하겠다’는 생각에 2012년 띵동의 벨을 눌렀다.
띵동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양하다. 물건 운반부터 이벤트 대행, 줄서기 대행, 경조사비 전달 대행, 관공서 업무 대행, 모닝콜 예약, 이사, 집안일, 빈집 관리, 반려동물 돌보기 등이다.
“고객들의 요구가 워낙 다양해 대충 세어봐도 1000가지 이상의 일을 합니다. 얄미운 사람의 뒤통수를 때려 달라, 술을 함께 마셔 달라는 곤란한 요구도 있죠. 그래도 불법이 아닌 이상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합니다.”
◆ 연이은 메신저 이탈…성과급제로 위기 돌파
윤문진 허니비즈 대표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문제는 심부름 요원인 메신저들의 이탈이었다. 채용 후 1년을 채우는 메신저는 고작 1% 남짓이었다. 메신저가 이탈할 때마다 다른 메신저로 대신했지만 하루 콜 수가 200~300건이 넘어가니 이마저 여의치 않았다.
원인 파악을 위해 윤 대표는 거리로 나섰다. 직접 부딪힌 메신저 업무는 생각보다 고달팠다. 배달원이라고 무시하거나 시비를 거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결국 메신저들의 만족도를 올리는 게 관건이었다. 그는 보상 체계에서 답을 찾았다. 고정적인 월급제에서 실적에 따라 결정되는 성과급제로 바꿨다. 기본급에 더해 매출의 65%를 메신저들이 가져가는 구조다.
보상 체계를 바꾸자 연봉 8000만원을 받는 메신저가 나왔다. 상위 20%의 연봉은 6000만원 정도다. 평균 연봉은 4800만원으로 업계 평균을 훌쩍 넘는다.
◆ 경쟁사 '해주세요' 인수…전국 제패 속도
윤문진 허니비즈 대표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띵동이 상승세를 탄 사이 '해주세요'에는 위기가 찾아왔다. 인력 누수가 가속화되고 적자 운영을 이어갔다. 윤 대표에겐 탐나는 곳이었다. 2006년부터 업력을 다졌고 누적 콜 300만건에 달하는 서비스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6개월 동안 해주세요를 무작정 찾아가 설득했습니다. 경쟁사에서 인수를 제안하니 보는 눈이 곱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회사 내부 사정이나 시장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원하는 조건을 맞춰 인수할 수 있었죠.
윤 대표와 함께 띵동을 이끌 전문가도 영입했다. G마켓 창립멤버인 류광진 전 이베이코리아 부사장을 공동대표로 앉혔다. 서비스 지역을 확장하는 대외 업무는 윤 대표가, 내부 운영은 류 대표가 맡는 방식이다.
전열을 다진 띵동은 성장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지난해 12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든든한 자금도 확보했다.
윤 대표는 우선 서비스 지역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서울 전역을 커버하는 데 이어 수도권 일부 지역으로 발을 넓힌다. 2018년까지는 전국 제패를 목표로 내걸었다.
“처리 주문 건수가 매월 10~15% 성장하고 있어 매출도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성장으로 4년 후엔 기업공개(IPO)도 추진할 겁니다.”
[뉴스핌 Newspim] 최유리 기자 (yrcho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