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현대로템 휠모터 구동시스템, 현대차 전기버스에 장착

기사등록 : 2017-05-26 09:4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MR댐퍼 상용차 적용…가전 등 신규 시장 공략

[뉴스핌=방글 기자] 현대로템이 개발한 휠모터 구동시스템이 현대자동차 전기버스에 적용된다.

현대자동차 전기버스 일렉시티(사진 상단)및 적용된 인버터(사진 아래 왼쪽)와 휠모터. <사진=현대로템>

현대로템은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현대 트럭&버스 메가페어’에서 휠모터 구동시스템과 MR댐퍼를 선보였다고 26일 밝혔다.

현대로템이 이번에 선보인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휠모터와 휠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로 구성됐으며 현대자동차가 전시한 ‘일렉시티(ELEC CITY)’에 적용됐다. 엔진이나 변속기 등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차량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어 차량의 무게 감량과 연비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렉시티’에 적용될 휠모터는 개당 120키로와트(kW)의 출력성능을 갖추고 있다. 이 휠모터를 버스 뒷바퀴에 장착할 경우 최대 240kW(내연기관 엔진 기준 322마력)에 이르는 출력을 낼 수 있다. 천연가스(CNG)버스의 경우 약 300마력의 출력을 가진다.

현대로템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4년동안 산업자원통상부 국책과제로 ‘베터리 교환식 차량용 휠모터 구동 시스템’을 개발했다. 양산용 전기버스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2018년 현대자동차 전기버스 ‘일렉시티’ 출시 시점에 맞춰 적용할 계획이다.

현대로템은 또, 킨텍스 야외전시장에 MR 댐퍼를 함께 전시했다. MR 댐퍼는 오일 대신 자기 유변 유체를 넣어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한다. 유체 점도를 소프트와 하드로 마음대로 변환,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는 첨단 충격제어장치다.

현대로템은 2006년 MR 댐퍼 개발을 시작해 차륜형장갑차, 자율주행시험차 등의 방위산업에 처음 적용했다. 2016년에는 현대자동차와 상용차(유니버스)용 MR 댐퍼 공동 개발을 완료했다.

현대로템은 MR 댐퍼를 ▲자동차와 ▲철도차량 ▲가전 ▲항공 ▲의료 ▲건축 등 민간분야 신규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현대자동차 전기버스용 휠모터는 향후 전기버스에 적용되는 만큼 신규 매출 창출이 기대된다"며 "MR 댐퍼도 ▲자동차부품 ▲철도차량 ▲가전 ▲의료 등 필요 시장 수요에 맞춰 민간기업들과 상담을 진행해 신성장 동력 육성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방글 기자 (bsmil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